
안녕하세요. 김경호님
stabl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명령이라 한 참 찾아보았는데...
현재 보강재가 해석되는 프로그램 SLOPILE, Tarren 등이 있습니다.
이같은 경우에는 보강재를 해석할 경우에 보강재의 인장강도와 같은 해석에 필요한 값을 입력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stable에는 보강재의 강성에 대한 입력항목이 없습니다.
그래서 tieback을 해석을 수행할 경우에는 tieback 하중이라는 값을 직접입력을 하여야 하는 경우인데.... 이 값은 직접 구하세야 하는 값입니다.
이 하중을 적용하면 stable에서는 포인터로드 개념으로 활동면에 힘을 적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메뉴얼을 참고하세야 겠네요.
본론으로 tieback 하중을 구하는 방법은....
제 경험적으로 그리고 SLOPILE에 적용하는 방법과 비교해 본다면 이렇게 하세야 겠네요.
보강재의 인장강도를 구하세야 하고요.
그리고 정착부분에 대한 마찰저항력, 부착저항력을 또 구하세야 합니다.
그리고 이 두값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이 tieback 하중으로 적용하시면 될 것같네요.
정확한 값은 정착부분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 가에 따라 다르니 직접 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혹시 다른 의견이 있으신 분 답변 바랍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stabl5m의 TIES 명령에 대해서..: 김경호(kaynine@shinbiro.com) ┼
│ 안녕하세요 수고가 많으십니다.
│ pcstabl5m의 TIES 명령에서 궁금한것이 있는데요
│ input 상수중에 'tieback 의 하중'이란 값이 있는데
│ 정확히 어떤 값을 넣어야 합니까?
│ 예를들어 지름32mm 이고 sd40을 쓴다면
│ 어떤 값을 넣어야하는지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 ┼
stabl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명령이라 한 참 찾아보았는데...
현재 보강재가 해석되는 프로그램 SLOPILE, Tarren 등이 있습니다.
이같은 경우에는 보강재를 해석할 경우에 보강재의 인장강도와 같은 해석에 필요한 값을 입력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stable에는 보강재의 강성에 대한 입력항목이 없습니다.
그래서 tieback을 해석을 수행할 경우에는 tieback 하중이라는 값을 직접입력을 하여야 하는 경우인데.... 이 값은 직접 구하세야 하는 값입니다.
이 하중을 적용하면 stable에서는 포인터로드 개념으로 활동면에 힘을 적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메뉴얼을 참고하세야 겠네요.
본론으로 tieback 하중을 구하는 방법은....
제 경험적으로 그리고 SLOPILE에 적용하는 방법과 비교해 본다면 이렇게 하세야 겠네요.
보강재의 인장강도를 구하세야 하고요.
그리고 정착부분에 대한 마찰저항력, 부착저항력을 또 구하세야 합니다.
그리고 이 두값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이 tieback 하중으로 적용하시면 될 것같네요.
정확한 값은 정착부분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 가에 따라 다르니 직접 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혹시 다른 의견이 있으신 분 답변 바랍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stabl5m의 TIES 명령에 대해서..: 김경호(kaynine@shinbiro.com) ┼
│ 안녕하세요 수고가 많으십니다.
│ pcstabl5m의 TIES 명령에서 궁금한것이 있는데요
│ input 상수중에 'tieback 의 하중'이란 값이 있는데
│ 정확히 어떤 값을 넣어야 합니까?
│ 예를들어 지름32mm 이고 sd40을 쓴다면
│ 어떤 값을 넣어야하는지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