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박진형님
K 값에 대한 의미를 다시 생각하세야 겠네요.
버켓계수라는 것은 쉽게 말하면 버켓에 고봉으로 쌓기 쉽고 공극이 적은 것 굴착하기 쉬운 것 등에 대하여 큰 계수를 주게 된다.

흙의 종류에 따른 버켓계수에 대한 값은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술자료 >> 토목시공학 >>
3. 시공기계[施工機械]
3-2 셔블계
3-2-2 셔블계의 작업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건설기계에 대해서........대단히 궁금: 박진형(bluewav7@hanmail.net) ┼
│ back hoe의 작업량 산정시 적용되는 k값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이죠?
┼ 버켓계수라고만 알고있는데 버켓에 담을때와 버켓에 담지않고 작업하는 경우의 k값은 어떻게 달라지는걸까요? 답변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