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용인님

간단하게 연약지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통지반에 비해서 침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이죠.
단순보의 형태의 교량의 경우 교각의 침하가 발생한다고 하여도 보 자체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에 영향을 적게 받죠.
그러나 연속보의 경우에는 교각의 침하가 발생하면 지점으로 작용하던 교각이 보와 분리된다면 어떠한 현상이 발생하겠습니까.
간단하게 지간이라고 하나요.. 교량의 길이가 두배가 되죠. 그러면 모멘트가 얼마나 크지죠...

위의 내용중 연약지반에서 지점에 침하가 발생하였을 경우 교량의 거동이 어떻게 되는지에 중점을 주시고 자료를 찾으시면 될 것 같네요.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교량에 대해: 김용인(forever7806@hanmail.net) ┼
│ 연약지반에 가설되는 교량의 형식에서 연속형교가 부적합한 이유가 무엇인지 좀 알려 주세여..학교 레포트 인데 아무리 찾아봐도 찾을수가 없어서 부득이 올립니다..
┼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