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867
1.횡단면도에서 도로가 서로 비스듬히 교차할경우 (직교가아닌 사선으로교차)
정체인에서 수직으로 읽어오다가 마지막 사선 끝부분은 점계획으로 횡단면도를
잡아서 토공량을 잡는것이 일반적으로 적합한 건가요?
2.무수히 많은 +단면과 정체인과의 아주근접한 거리에도 단면을 다 잡아주는게 토공에는
정확할지모르나 오히려 시공상의 어려움을 주는건 아닌가요?
3.도로의 시,종점을 나타낼때 횡단상 토공을 구하는 물량의 시,종점은 같아야하는거 아닌가요? 일반적인 도로의 시종점과 위에서 말한 사선부분의 점계획부분은 분명 다르기때문에 오히려 혼란을 주는건 아닌가요?
정체인에서 수직으로 읽어오다가 마지막 사선 끝부분은 점계획으로 횡단면도를
잡아서 토공량을 잡는것이 일반적으로 적합한 건가요?
2.무수히 많은 +단면과 정체인과의 아주근접한 거리에도 단면을 다 잡아주는게 토공에는
정확할지모르나 오히려 시공상의 어려움을 주는건 아닌가요?
3.도로의 시,종점을 나타낼때 횡단상 토공을 구하는 물량의 시,종점은 같아야하는거 아닌가요? 일반적인 도로의 시종점과 위에서 말한 사선부분의 점계획부분은 분명 다르기때문에 오히려 혼란을 주는건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