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자세하겐 모르지만 아마도 무대에는 2가지가 있을겁니다
횡방향무대 와 종방향 무대인데 횡방향 무대는 말그대로 횡단도상에 한측점에서 절토와 성토가 동시에 이루어질때 절토한 흙을 그측점 성토구간에 쓰는것으로 운반이 없으므로 무대이고요 종방향무대는 품셈의 기계화시공적용을 보면 도쟈의 평균거리가 20m라고 나오는데 유토곡선에서 (절토와성토가 교차되는 곳 예를들면 측점7에서 절토이고 측첨8에서 성토라면 그곳에선 또 종단상으로 절토지역의 흙이 성토지역으로 옮겨지게 되는데 그때 20m범위 내의 흙이 종방향무대로 이또한 운반이 도쟈의 흙깍기에 포함되므로 무대입니다.
좀더 자세한 사항은 선배님들에게 물어보시면 유토곡선(매스커버)에 대해서 말이죠.
금방 알수 있을겁니다.
참고로 무대라고 하는 이유는 운반의 경우 흙깍기외에 운반의 비용이 계산이 되지만 위의 무대는 흙깍기 자체로 운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반의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무대라고 합니다.

┼ 무대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승보(ansungbo@hotmail.com) ┼
│ 안녕하세요.
│ 토공부분에서 무대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 유용무대, 2차무대 등의 말이 사용되는데 용어의 정의를 상세하게 알고 싶군요.
│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그럼 수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