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 과다짐(over compaction) |
개요 |
||
|
|
|
|
|
over compaction 은 '과다짐' 으로 번역되고 있지만 '과잉전압' 등으로 부르는 경우도 많다. 유사한 토질용어로 과압밀(over consolidation)이 있지만 이것은 현재상재압보다도 큰 압축응력을 받는 것과 동등한 잘 다져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주로 자연지반에 대한 것인 반면, 과다짐은 흙(많은 경우 교란토를 성토재료로 사용한 경우가 있지만)을 다질 대 그 토질 및 그 함수상태로 과잉다짐을 가한 것으로써 다짐에 의하여 개선된 강도 특성이 약화 되어버린 현상을 말한다. 어느 함수상태의 흙을 다질 때, 다짐일 Ec을 증가하면(다짐시험에서 다짐 회수를 증가하고 현장다짐에서는 전압회수를 증가하면) 흙은 조밀하게 되어 치밀한 다짐 상태로 되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나 다짐토의 함수비가 높으면, Ec의 증가에 의하여 증가된 강도가 극대치를 나타내고, 이후는 다짐일을 증가해도 강도는 오히려 저하한다. 이같은 상태로 되는 현상을 일반적으로 과다짐이라 부른다. 과다짐상태로 될 때 Ec의 증가에 따른 건조밀도의 증가는 무디어지나 저하하는 것은 아니다(다짐 방법에 따라 과다짐으로 되면 밀도가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흙이 연약화되고 되이겨짐이 심하게 되어 다짐 효과가 저하될 때에 생긴다.) 따라서, over 라는 의미는 다짐에 의하여 흙의 강도를 상승하도록 하는 목적으로써 over 이고, 밀도 증가로써의 관점에서 over는 아닌 것에 주목해야 한다. 다짐한 건조밀도, 함수비 및 강도와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면 그림 6-1과 같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