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 세굴(scour) |
|
||
|
|
|
|
|
세굴이 문제가 되는 것을 크게 나누면항만, 하천의 2개 분야이며, 항만 분야에서는 파도 및 조류에 의하여 저질이 부유하여 이동하는 현상을 표사현상, 이동하고 있는 모래를 표사라하며, 표사에 의한 해빈의 변형을 침식과 매몰이라 한다. 하천에서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이동하는 저질을 유사라 하고 이 유사에 의한 해저 부근 물의 운동은 수심이 낮을수록 커지므로 해저사가 움직이기 시작하는 한계의 수십을 표사이동한계수심이라 하고 침식의 공학적인 척도가 되고 있다. 한편, 하천공학에서는 저면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유체의 밀도로 나눈 값의 평방근으로서 속도 차원을 가지는 하상의 마찰 속도가 저질입경에 해당하는 한계마찰속도를 넘는지 여부를 세굴의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세굴 규모를 이론적으로 예측하기는 무리이다. 참고로 유수 중에 있는 구조물 주변의 세굴심도를 추정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세굴방지 방법은 세굴 위험성이 있는 부분을 피복하는 방법과 세굴작용을 일으키는 외력인 파와 흐름을 억제하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다. 즉, 피복을 돌, 콘크리트블록, 아스팔트매트 및 모르터매트 등을 사용하고 제어구조물은 방파제, 방사제, 이안제, 돌제 및 도류제 등이 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