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및 기초기술사 문제풀이

   85. 정보화시공(realtime construction control system)


  

 

 

 

 

 

 정보는 과거에 발생한 축적자료로서 이것이 미래에 전달되어 이용되기 때문에 정보의 가치가 존재하며, 과거는 아주 옛날일 수도 있고 바로 몇 시간, 몇 분전의 경우일 수도 있다.

토질공학적으로 말하면 보링결과도 설계 계산결과도 그리고 침하량 계산결과도 정보에 들어가는 것이다. 흙구조물이나 기초구조물을 설계, 시공을 할 경우 대부분 이론과 실제의 차이, 정보의 부족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여건에 대하여 Terzaghi 는 Observation Procedure 라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여 정보화시공이라는 방법도 이러한 Terzaghi 가 제창한 기술사상에서 그 공학사적 원점을 발견해 낸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장계측에서 얻어진 자료(정보)의 분석, 검토 및 설계수정, 더 나아가서는 시공순서 보완 등의 작업에는 많은 기술자의 노력과 시간의 투입이 필요하며, 또한 공사규모가 거대하고 복잡할수록 현장 계측기종 및 측정점수도 많게 된다.

따라서, 시시각각으로 계측되는 막대한 양의 정보를 계통적으로 수집, 처리, 분석하지 않으면 모처럼 얻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론과 실제, 설계와 시공을 유기적으로 결부시키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시공중에 얻어진 많은 정보를 신속하게 컴퓨터 응용기술을 활용, 처리하여 그 결과를 설계 및 시공 담당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전달하고 또한 컴퓨터로 정리, 처리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앞으로의 설계와 시공에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을 정보화시공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 정보화시공 방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설계계산 프로그램의 작성, 정밀도, 내구성 및 감도가 좋은 계측기를 사용, 신뢰할 수 있는 현장 계측 기술자의 협력, 그리고 현장에서 얻어진 정보의 토질공학적인 판단 등 기술자에게 요구되는 종합적인 관리능력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