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529
보내주신 데이타를 검토해본 결과 지층구분 지층번호를 잘못 입력하셨던군요.
그래서 말뚝을 설치하면 이상한 곳에 자리를 잡는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만일 말뚝이 없이 모델링은 하였더라도 님께서 입력하신 순서로는
프로그램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고 쓰레기 결과가 나왔을것입니다.
제가 수정을 하였으니 한번 보시고 입력하는 방법을 참고하십시요.
그리고 제가 모델링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지반정수를 제대로 입력하였는지
모르겠으니 토질정수 데이타는 한번 검토하여주시기 발랍니다.
두 번째로 말뚝의 간격비에 따른 갯수에 대해서 물어오셨는데
몬 프로그램은 말뚝에 관해서는 반 3차원 해석을 합니다.
그러니깐 단면은 비록 2차원 단면을 이용하지만 말뚝은 해석 사면에 대해서
충분히 많이 설치가 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해석 사면에서 임의의
사면 파괴가 발생하는 영역에 걸쳐 말뚝이 설치 되어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말뚝개수를 사용하지 않고 간격비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지요
다른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다시 질문을 해주세요
그럼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건설엔지니어링 그룹 (slopile 팀)
┼ slope pile 관련..: 오세호(engineer76@korea.com) ┼
│ 1. 첫번째 말뚝의 위치가 이상합니다.
│ 왜 그런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 2. 간격비에서 순간격분에 말뚝직경이라 그랬는데..그럼 갯수는 어떻게 고려되는지
│ 답변 한번 부탁드립니다.
┼ ┼
그래서 말뚝을 설치하면 이상한 곳에 자리를 잡는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만일 말뚝이 없이 모델링은 하였더라도 님께서 입력하신 순서로는
프로그램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고 쓰레기 결과가 나왔을것입니다.
제가 수정을 하였으니 한번 보시고 입력하는 방법을 참고하십시요.
그리고 제가 모델링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지반정수를 제대로 입력하였는지
모르겠으니 토질정수 데이타는 한번 검토하여주시기 발랍니다.
두 번째로 말뚝의 간격비에 따른 갯수에 대해서 물어오셨는데
몬 프로그램은 말뚝에 관해서는 반 3차원 해석을 합니다.
그러니깐 단면은 비록 2차원 단면을 이용하지만 말뚝은 해석 사면에 대해서
충분히 많이 설치가 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해석 사면에서 임의의
사면 파괴가 발생하는 영역에 걸쳐 말뚝이 설치 되어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말뚝개수를 사용하지 않고 간격비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지요
다른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다시 질문을 해주세요
그럼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건설엔지니어링 그룹 (slopile 팀)
┼ slope pile 관련..: 오세호(engineer76@korea.com) ┼
│ 1. 첫번째 말뚝의 위치가 이상합니다.
│ 왜 그런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 2. 간격비에서 순간격분에 말뚝직경이라 그랬는데..그럼 갯수는 어떻게 고려되는지
│ 답변 한번 부탁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