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529
보내주신 자료 잘 받았습니다.
그런데 몇가지 궁금증이 있어 이렇게 다시 글을 올립니다.
먼저, conver라는 피쉬에 대한것입니다.
1.unmax값을 unbal*0.0001이라고 주었는데, 0.0001값을 주게된 배경을 알고 싶고요 (즉, 책에서 그정도 값을 요구했다든지, 아니면 누구가 논문에서 그 값을 주장했다든지 등등)
2. unmax값의 한계를 0.0002라고 했는데 그것의 배경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prop_ver의 피쉬에 대한것입니다.
안전율을 계산한것 같은데요
3. 전단강도 감소기법은 안전율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주고 수치적으로 안전율을 찾아가야 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계속 증가되는 것뿐이네요.
4. 안전율 계산시 arctan(tan(phi)/Fs)=phi를 해야하는데 그냥 phi/Fs=phi를 한것도 잘못된것 같습니다.
5. 마지막으로 conver라는 피쉬가 파괴를 나타내는 기준이 되는 것 같은데
안전율을 계산하기 전에 미리 conver를 실행하고 그후에 prop_ver를 실행했는데, 제 견해로는 안전율이 계산되어지는 과정 중간중간마다 파괴기준이 되는 피쉬가 들어가야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야 정확한 안전율을 찾을 수 있으니까요.
제가 아직 정확하게 알지 못해 이렇게 또 폐를 끼지게 되었으니, 바쁘시더라도 답장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런데 몇가지 궁금증이 있어 이렇게 다시 글을 올립니다.
먼저, conver라는 피쉬에 대한것입니다.
1.unmax값을 unbal*0.0001이라고 주었는데, 0.0001값을 주게된 배경을 알고 싶고요 (즉, 책에서 그정도 값을 요구했다든지, 아니면 누구가 논문에서 그 값을 주장했다든지 등등)
2. unmax값의 한계를 0.0002라고 했는데 그것의 배경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prop_ver의 피쉬에 대한것입니다.
안전율을 계산한것 같은데요
3. 전단강도 감소기법은 안전율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주고 수치적으로 안전율을 찾아가야 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계속 증가되는 것뿐이네요.
4. 안전율 계산시 arctan(tan(phi)/Fs)=phi를 해야하는데 그냥 phi/Fs=phi를 한것도 잘못된것 같습니다.
5. 마지막으로 conver라는 피쉬가 파괴를 나타내는 기준이 되는 것 같은데
안전율을 계산하기 전에 미리 conver를 실행하고 그후에 prop_ver를 실행했는데, 제 견해로는 안전율이 계산되어지는 과정 중간중간마다 파괴기준이 되는 피쉬가 들어가야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야 정확한 안전율을 찾을 수 있으니까요.
제가 아직 정확하게 알지 못해 이렇게 또 폐를 끼지게 되었으니, 바쁘시더라도 답장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