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529
질문에 대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질문이 좀 더 있어 다시 연락 드립니다.
질문 5에 대해 다소 오해가 있었는것 같습니다.
질문 5에서 제가 하는 말은 안전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파괴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즉, 어떤 상태를 파괴라 하고 어떤 상태를 파괴가 아니라고 하는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안전율을 구할 수 있는것인데
prop_ver피쉬에는 파괴에 대한 기준이 있지 않습니다. 단지 conver피쉬가 아마 파괴에 대한 기준인 것 같은데,
prop_ver을 실행하기 전에 저장된 데이터는 이미 conver가 실행된 상태인데 이것에서 prop_ver을 실행하였을땐, step 2000으로 그것이 파괴되었는지 그 기준을 알 수 없을 것 같은데 안전율 하한값에서 차츰 증가하는 값으로 하여 마지막 값이 안전율이 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만일 1에서 5가 아닌 1에서 100이라면 안전율은 더 큰 값을 가지는 것이 아닌가요? prop_ver에서는 1에서 5까지 돌게 만들었는데 만일 안전율이 중간, 즉 3정도에서 나올 수도 있는데 그것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요?
다시 요약해서 질문을 하면 어떤 안전율을 가정하였을때 FLAC에서 그 안전율을 바꾸어 가며 계속 step이 진행되어 파괴가 막 되려고 할 때가 바로 안전율이 되는데 그 부분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 그것이 궁금합니다.
보내주신 데이터는 미리 그 기준에 맞추어 수렴시킨후에 안전율을 증가시키기만 하였는데 어떻게 그것이 안전율이 되는지 그 기준을 잘 모르겠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추신: Dawson논문이 있으시면 보내주실수 있는지요? 제가 구하기가 쉽지않아서 그러는데 직접 볼수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거라 믿습니다.
1. Slope Stability Analysis with FLAC (1999,9: FLAC and Numerical Modeling in Geomechanics)
2. Slope Stability Analysis by Strength Reduction(1999, Geotechnique)
질문이 좀 더 있어 다시 연락 드립니다.
질문 5에 대해 다소 오해가 있었는것 같습니다.
질문 5에서 제가 하는 말은 안전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파괴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즉, 어떤 상태를 파괴라 하고 어떤 상태를 파괴가 아니라고 하는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안전율을 구할 수 있는것인데
prop_ver피쉬에는 파괴에 대한 기준이 있지 않습니다. 단지 conver피쉬가 아마 파괴에 대한 기준인 것 같은데,
prop_ver을 실행하기 전에 저장된 데이터는 이미 conver가 실행된 상태인데 이것에서 prop_ver을 실행하였을땐, step 2000으로 그것이 파괴되었는지 그 기준을 알 수 없을 것 같은데 안전율 하한값에서 차츰 증가하는 값으로 하여 마지막 값이 안전율이 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만일 1에서 5가 아닌 1에서 100이라면 안전율은 더 큰 값을 가지는 것이 아닌가요? prop_ver에서는 1에서 5까지 돌게 만들었는데 만일 안전율이 중간, 즉 3정도에서 나올 수도 있는데 그것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요?
다시 요약해서 질문을 하면 어떤 안전율을 가정하였을때 FLAC에서 그 안전율을 바꾸어 가며 계속 step이 진행되어 파괴가 막 되려고 할 때가 바로 안전율이 되는데 그 부분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 그것이 궁금합니다.
보내주신 데이터는 미리 그 기준에 맞추어 수렴시킨후에 안전율을 증가시키기만 하였는데 어떻게 그것이 안전율이 되는지 그 기준을 잘 모르겠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추신: Dawson논문이 있으시면 보내주실수 있는지요? 제가 구하기가 쉽지않아서 그러는데 직접 볼수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거라 믿습니다.
1. Slope Stability Analysis with FLAC (1999,9: FLAC and Numerical Modeling in Geomechanics)
2. Slope Stability Analysis by Strength Reduction(1999, Geo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