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답해 드리겠습니다.
첫번째, m n reg 는 model null region 의 약자입니다. 명령어를 간략하게 약자로 쓰더라도 인식이 되기때문에 이렇게 많이 사용합니다.
두번째, 아래의 fish function 을 설명드리면,
def k0_set ; fish-function 정의
loop i (1,izones)
loop j (1,jzones)
sxx(i,j)=1.0*syy(i,j)
szz(i,j)=1.0*syy(i,j)
end_loop
end_loop
end
1) def 문은 피시함수를 정의하는 것이고,
2) loop i (1,izones) .......... end_loop 문은 i 라는 변수에 1부터 izones 값까지 하나씩
증가시켜가며 대입을 하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izones, jzones 같은 것은 플랙에서
미리 정해놓은 변수로서 각각 모델링한 그리드 내의 i의 최대값(총 갯수), j의 최대값
(총 갯수)을 의미합니다.
3) sxx(i,j)=1.0*syy(i,j) 내용은 앞서 loop 문을 통해서 i와 j 변수에 모든 그리드 내의 i,j
값이 대입될 것이므로 전체 그리드 요소의 σyy 값을 찾아서 거기에 1.0 을 곱한 값을
σxx 에 넣으라는 의미입니다. sxx()와 syy() 도 플랙에서 미리 정해놓은 변수입니다.
그러니까 결국은 수직방향의 토압에 토압계수를 곱해서 수평토압을 구하는 것을
의미하는 거죠... szz() 방향도 2D 해석이므로 마찬가지 방법으로....
4) 그리고, 마지막에 k0_set 이라고 다시 fish-function 이름을 호출함으로서 fish-
function을 실행시킵니다.

의문이 풀리셨을 것이라고 생각이 드는 군요.
상세한 내용은 메뉴얼을 참고해 보세요. 무궁무진하게 많은 피시함수 및 변수가 있으니까 그걸 이용하면 정말 플랙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겁니다.

그럼 또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