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보내주신 데이터를 검토해보려고 했으나, 너무 이상하게 되어 있어서 상황파악이 잘 안되더군요.
중력가속도 주는 부분이 너무 많고, save는 같은 파일명으로 계속 하고 있고...
어쨌든 데이터를 돌려봤으나 무슨 단면인지도 알 수 가 없더군요.

그래서 개략적으로 성토사면 데이터 파일 작성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보시고 직접 해보세요...
먼저,

1 단계) 여기까지는 그냥 두어도 될 것 같구요.
grid 150, 70
model mohr

2 단계) 여기서는 성토체까지 포함한 영역을 모두 생성합니다.
gen (............)

3 단계) 그리고, table 명령어로 성토체의 외곽선과 층구분까지 표현합니다.
전체 성토층 및 하부지층을 말입니다.
table 1 (..............)
table 2 (..............)
table 3 (..............) 등등....
gen table 1
gen table 2
gen table 3 등등....

4 단계) 최종단계 성토체 외곽의 쓸모없는 부분을 없앱니다.
m n reg ....

5 단계) 경계조건을 입력합니다.
fix x i=1
fix x i=151
fix y j=1

6 단계) 이제 성토전의 원지반의 영역만 남기고 나머지 성토체 영역은 null 시킵니다.
이때, plot grid mark 를 시키면 mark로 성토단계별 성토층이 나타날 될 것입니다.
m n reg.....
m n reg.....
m n reg..... 등등....

7 단계) 원지반의 물성치를 넣습니다.
prop bulk ..... she ...... den ..... fric .... coh .... ten ..... reg=.....

8 단계) 중력 가속도를 줍니다. 이때 중력 가속도를 이 단계에서 줄 것인지 아니면 6단계
이전에서 전체 지층에 물성치를 넣고 줄 것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으나,
제 생각에는 이 단계에서 주더라도 각 단계별 해석에서 충분히 수렴만 시킨다면
별 문제는 없을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set grav=9.8

9 단계) 충분하게 불평형력을 수렴을 시킵니다.
여기서, 불평형력을 수렴시키는 정도는 먼저 이 단계에서 step 1 만큼 해석을
수행했을 때 산정되는 불평형력의 0.01 % 만큼 수렴되도록 하면 됩니다.
solve f ......

10 단계) ko 를 입력합니다.
이때, Ko 값에 어떤 값이 들어가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여기서는 1.0 을 넣는
것으로 가정 했습니다.
def k0_set ; fish-function 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loop i (1,izones)
loop j (1,jzones)
sxx(i,j)=1.0*syy(i,j)
szz(i,j)=1.0*syy(i,j)
end_loop
end_loop
end

k0_set ; fish-function 이름을 호출함으로서 fish-function이 실행됩니다.

11 단계) 다시한번 충분하게 불평형력을 수렴 시킵니다.
solve f ......

12 단계) 불평형력 수렴과정에서 발생된 변위 및 속도등을 초기화 시킵니다.
INI xdis=0
INI ydis=0
INI xvel=0
INI yvel=0

13 단계) 이제 성토를 할 단계입니다.
먼저 제 1 성토층을 model mohr reg .... 형태로 되살리고, 그 지층의 물성치를
넣습니다.
m n reg ******
prop bulk ..... she ...... den ..... fric .... coh .... ten ..... reg ******

14 단계) 이 단계에서 충분히 불평형력을 수렴시킵니다.
9 단계에서 결정된 불평형력을 수렴시키는 정도 만큼 수렴시키게 하면 될
겁니다.
solve f ......

15 단계) 충분하게 프로그램이 돌아갔다고 생각되면 Save 파일을 만들어야 겠지요?
이때 나중에 해석결과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save 파일을 단계별로 다른이름
으로 넣는 것이 좋습니다.
save 1st_layer.save

16 단계) 이제부터는 13단계와 15단계를 반복해서 원하는 높이(처음에 모두 모델링이
되었던 높이)까지 성토를 하고 불평형력을 수렴시키고 save 파일을 만드는
과정을 수행합니다.

이상입니다.
한가지 더 덧붙인다면 성토하부지반의 연경도에 따라서 침하량이 크거나, 성토체 변형이 크게 발생할 경우에는 set large 설정을 해놓아야 할 것입니다.
이 사항에 대해서는 메뉴얼을 참고하시길...

그리고 한가지 말씀을 드리자면, 저희 사이트는 FLAC 을 판매하고 기술지원을 하는 사이트가 아닙니다.
토목을 전공하시는 분들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목적의 비영리 사이트로서 회원여려분 누구라도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그것을 몰라서 고생하는 분들에게 사심없이(?) 전파하고 그로 인해 새로운 경험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간혹가다가 저희 사이트가 FLAC 기술지원 사이트인 줄 알고 항의성 전화나 기술지원요청을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앞으로는 그런 오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