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먼저 답변을 드리기에 앞서 님이 작성하신 데이터에 직접 코멘트를 달아가며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grid 150,62
model mohr
gen 0,0 0,62 150,62 150,0 i=1,151 j=1,63
gen 0,0 0,50 150,50 150,0 i=1,151 j=1,51
gen 0,50 0,52 150,52 150,50 i=1,151 j=51,53
gen 0,52 0,54 150,54 150,52 i=1,151 j=53,55
gen 0,54 0,56 150,56 150,54 i=1,151 j=55,57
gen 0,56 0,58 150,58 150,56 i=1,151 j=57,59
gen 0,58 0,60 150,60 150,58 i=1,151 j=59,61
gen 0,60 0,62 150,62 150,60 i=1,151 j=61,63

* mark geginons for construction stages
mark j=51
gen line 15,63 20,50
mark j=53
mark j=55
mark j=57
mark j=59
mark j=61
mark j=63

plot grid mark ; 여기에 hold 명령을 넣으면 화면을 보면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해
놓으면 화면이 빨리 바뀌어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네요
sav s1.sav

set log on ; 이것은 별로 의미가 없어 보이는군요.
올바르게 사용되었다고도 볼수 없구요...

* start with dam foundation
model null j=51,63
plot grid
fix x i 1
fix x y j 1 ; fix y j 1 만 해놓아도 됩니다.
fix x i 151

prop bulk 25 she 0.5034 den 0.00155 fric 0 coh 0.015 ten 0 reg=3,40
; 물성치는 정확하게 넣으셨을 것이라고 생각하겠습니다. 그러니 앞으로 설명하는 내용에서 해석결과에 대한 언급은 안하겠습니다.
참고적으로 제가 이 사이트 자료실에 넣은 물성치 산정용 엑셀파일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set grav=9.81

his unbal
set force 0.02
; 여기서, 왜 0.02를 하셨는지 궁금하네요. 제가 step 1을 주어본 결과로는 10^-2 정도의 불평형력이 발생하는데... 제가 말씀드린적이 있듯이 그 값의 0.01% 까지 수렴을 시켜는 것이 좋을 텐데 말입니다. 그러니까, set force 1e-6 정도가 되어야 한다는 말씀이죠...
하지만 이경우 그렇게 돌리는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니까 어느정도 그 값을 줄여주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우측에 압밀이 일어난다고 하셨는데, 이 단계에서 충분히 불평형력이 수렴되지 않았기에 성토단계를 위해 해석을 수행할 때에도 우측의 원지반에서는 중력가속도에 의한 불평형력 수렴단계가 계속되고 있는 관계로 변위가 하향으로 나타나는 겁니다.

initial xvel 0
initial yvel 0
initial xdis 0
initial ydis 0

hist xdis i=90 j=50
hist ydis i=90 j=50

sav s2.sav

;set log off ; 이것도 사용된 이유를 모르겠네요. 꼭 사용하시려면 변위를 프린트 하는 명령어 앞에 로그파일을 설정했다가 그 명령이 지나면 설정을 해제하는 방법을 쓰십시오.
그렇게 해야 잡다한 계산과정들이 로그파일에 들어가지 않으니까요...

set log on ; 이것도 마찬가지....

* add first lift
mod mohr reg 6,52
mod null i 100 j 52

prop bulk 12.5 she 5.769 den 0.0019 fric 25 coh 0.015 ten 0 reg=3,52
set grav=9.81 ; 앞에서 중력가속도 설정을 해놓았는데 왜 여기에 또 사용이 되었는지 궁금하군요....삭제하시는 것이 좋을 듯...아마도 이 데이터 파일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앞에서 사용된 set grav=9.81 명령어에 의해 메모리에 중력가속도는 9.81이라고 저장이 되있을테니 다시 사용할 필요는 없겠지요...

set force 0.02 ; 여기도 마찬가지로 set force 1e-6 정도가 되어야 하겠지요?
plot grid ; 여기엔 hold 가 추가되는 것이 좋겠고...

hist xdis i=90 j=50
hist ydis i=90 j=50

solve

save s3.sav

* add second lift

mod mohr reg 6,54
mod null i 100 j 54

prop bulk 12.5 she 5.769 den 0.0019 fric 25 coh 0.015 ten 0 reg=3,54
set grav=9.81 ; 이것도 마찬가지로 중복사용될 필요가 없습니다.

set force 0.02 ; 이제부터는 반복되는 내용이라서 설명을 드릴 필요가 없을 것 같네요...
여기도 충분히 수렴시켜야 되는데 그렇지 못했군요...

plot grid

hist xdis i=90 j=50

hist ydis i=90 j=50

solve

save s4.sav

print xdis i=90 j=50

print ydis i=90 j=50

* add third lift
mod mohr reg 6,56
mod null i 100 j 56

prop bulk 12.5 she 5.769 den 0.0019 fric 25 coh 0.015 ten 0 reg=3,56
set grav=9.81
set force 0.02
plot grid
hist xdis i=90 j=50
hist ydis i=90 j=50
solve
save s5.sav

* add fourth lift
mod mohr reg 6,58
mod null i 100 j 58
prop bulk 12.5 she 5.769 den 0.0019 fric 25 coh 0.015 ten 0 reg=3,58
set grav=9.81
set force 0.02
plot grid
hist xdis i=90 j=50
hist ydis i=90 j=50
solve
save s6.sav

* add fifth lift
mod mohr reg 6,60
mod null i 100 j 60
prop bulk 12.5 she 5.769 den 0.0019 fric 25 coh 0.015 ten 0 reg=3,60
set grav=9.81
set force 0.02
plot grid
hist xdis i=90 j=50
hist ydis i=90 j=50
solve
================================================================================
이제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 이해가 되시죠?
님은 충분히 수렴을 시키지 않고 해석을 끝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보고 몇가지 느낀점을 말씀드리면...
성토체 옆에 뽀족하게 돌출된 것이 있던데 그것이 무엇인지요?
그것 때문에 그 성토단계에서는 불평형력이 1e-3 이하로는 수렴되니 않는군요...
혹시 잘못들어간 것이라면 수정하셔야 제대로된 결과가 나올 겁니다.
그 부분이 성토체 물성치를 갖게되면 당연히 파괴상태에 도달할 것이기 때문에 불평형력이 수렴되지 않고 진동하기 때문이랍니다.
또, grid 간격은 1m 보다 좁게 작성하신 것 같군요...맞나요?
만약에 그렇다면 1m 정도 간격으로 수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너무 간격이 촘촘해서 데이터 짜기에도 불편하고, 해석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것 같습니다.
한가지만 더...
전체 메쉬에서 성토체 반대편 즉 우측부분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서 경계조건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났는데...좌측부분 즉 성토체는 경계와 너무 가까워서 그 결과에 신뢰성이 떨어질 것 같네요... 제가 해석단면 형태를 못봐서 잘 모르겠지만...기왕이면 성토체를 가운데에 배치하고 좌우측면에 경계와 충분한 이격거리 ...약 성토체 하단 폭의 3~4배 이상을 확보하시는 것이 해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필요할 것 같군요...

답변이 무척 길었네요....
제가 설명드린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시고 다시한번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해석해보시기 바랍니다. 조금해보고 나서 이상하다고 포기하지 마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