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민홍님

1. 권오순 박사님의 액상화 프로그램 KLiq에서 spt에 의한 간편해석법 입력시 지반가속도(gal)을 입력하는데 이것은 어떤 기준의 값을 넣는지요?

>> KLiq 메뉴얼에 보시면 어떤 값을 넣어야 하는지 설명이 되어 있는데....
간단하게 원칙적으로 최대 지표면 지반가속도는 지표면에서의 가속도 값이기 때문에 지층에 따른 기반암에서의 가속도는 지진응답해석을 통해 구해야 합니다.
보통의 경우 비슷한 값을 가지므로 그냥 최대 지표면 지반가속도를 그대로 적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메뉴얼 참조
참고로
어느 기준을 적용하는 가에 따라서 해석 값에 차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KLiq프로그램에 적용된 해석법을 확인하시고 그리고 그 근본이 되는 제안자의 이론을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2. 해상매립부지의 원지반이 실트질 모래층(얕은구간 2m/깊은구간10m으로 분포)으로 만약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을 경우 적절한 액상화 방지대책공은 무엇인지요?
(점토일 경우 대부분 scp처리로 되는데...실트질 모래는 어떤 공법이 적절한지지?)

>> S.C.P 에 대한 것을 한번 살펴보세야 하겠네요.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S.C.P 라는 것은 모래 또는 점토로 된 연약지반에 모래을 압입 다짐함으로 지반내에 모래말뚝을 조성하는 것인데 타입시 진동하중을 이용합니다.
모래지반에서는 지지력증가, 압축침하감소, 액상화방지, 수평저항력증가 등이 주목적이고
점토지반에서는 지지력증가, 압밀시간단축,압밀침하량 등이 주목적입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면에서는 점토지반 보다는 모래지반이 더 좋을 것 같네요.
특히 액상화를 방지하는 목적이라면 S.C.P조성시 지반에 진동하중이 가해짐으로 느슨한모래 또는 사질토 지반에 이 공법을 적용할 때는 지반을 한계간극비 이하로 다짐할 수가 있고 지진시나 진동시의 액상화를 방지할 수 있고, 다져진 모래기둥과 함계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켜 기초의 지지력도 증가시킬 수 있고 또 침하량을 억제하고 불균질한 지반을 균일하게하여 부등침하도 방지할 수 있고.....적다보니까 안되는 것이 없네요....

3. 호안기초 대상 지반이 상부 실트질모래층이 약 10m분포한후 점토가 1.5m,그리고 모래질 자갈, 풍화암층의 지층순일때 중간의 점토 1.5m는 잔류침하에 영향을 없는지요, 또 잔류침하나 기타 압밀의 영향이 있다면 이 점토(일반적인 해상점토)는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까요?

>> 이 내용에 대해서 정확한 판단은 힘들것 같네요.
일단 추가하중을 계산하여 점토층의 응력의 증가가 이루어지는가을 먼저 판단하고 침하량과 시간등을 계산을 하여 잔류침하량이 얼마가를 알아야 호안구조물에 영향을 주는 가를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략적으로 점토층의 두께가 1.5로 대체로 작고, 점토층 상하부의 토층이 실트질모래층, 모래질자갈로 배수조건도 양호한 상태이고 하니 별도의 압밀촉진공법은 필요가 없이 호안기초의 추가하중으로 그냥 압밀시켜도 될 것 같네요.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액상화에 대하여: 안민홍(pontdesart@hanmail.net) ┼
│ 안녕하십니까? 매일, 정말 유익한 SITE에서 많은 정보를 얻고 갑니다. 명쾌한 답변과 겸손한 말씀속에서 토목뿐만 아니랄 많은 것을 배운답니다. 해상매립에 관해 t/k중 저도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부탁을 드립니다.

│ 1. 권오순 박사님의 액상화 프로그램 KLiq에서 spt에 의한 간편해석법 입력시 지반가속도(gal)을 입력하는데 이것은 어떤 기준의 값을 넣는지요?
│ 2. 해상매립부지의 원지반이 실트질 모래층(얕은구간 2m/깊은구간10m으로 분포)으로 만약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을 경우 적절한 액상화 방지대책공은 무엇인지요?
│ (점토일 경우 대부분 scp처리로 되는데...실트질 모래는 어떤 공법이 적절한지지?)
│ 3. 호안기초 대상 지반이 상부 실트질모래층이 약 10m분포한후 점토가 1.5m,그리고 모래질 자갈, 풍화암층의 지층순일때 중간의 점토 1.5m는 잔류침하에 영향을 없는지요, 또 잔류침하나 기타 압밀의 영향이 있다면 이 점토(일반적인 해상점토)는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까요?

│ 바쁘시더라도 답변을 꼭 부탁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