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장교님

제 견해를 한마디....

간극수압을 고려하여 성토사면을 해석하신다고 했는데....
삼축시험을 행하지 않고 간극수압계수를 추정하여 해석을 하신다고요...
사면해석시 간극수압을 고려한다는것은 보다 현재의 상태을 충실하게 반영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 간극수압계수를 시험 또는 측정에 의하지 않고 추정에 의해서 산정하여 해석을 한다면 잘못하면 엄청난 실수를 범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확한 계수를 산출할 수 없는 조건이라면 간극수압을 고려한 해석을 피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간극수압계수 어떻게..: 정장교(janggyo@knhc.co.kr) ┼
│ 안녕하십니까?
│ 성토사면 해석시 상부 3m정도 간극수압을 고려 하려 합니다..
│ stabl 입력data중 간극수압계수 와 간극수압상수가 있는데요..
│ 간극수압계수는 3축시험후 skempton식으로 추정이 가능한데...
│ 성토시 시헝에 의하지 않고 추정할수는 업는지요....
│ 그리고 간극수압상수 는 어떤수치를 입력해야 하는지 의미는 무엇인지....
│ 고민중 문의 드립니다.....
│ 수고하세요....
│ 아래 질문에 답주신것 진심으로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