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압에 대한 질문입니다.
오광원Rankine's 주동토압이론에서
비배수 상태일 경우 토압의 합이
Pa = 1/2rH^2 - 2CuH이라고 배웠습니다.
헌데 공식상으로 보면 높이 H는 정해져 있으니까,
점착력 C가 무한이 크게 된다면
현장의 지반 상태와는 다르게 힘의 합력이 0이거나
음수가 나올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해서 교수님께서 Rankine's의 이론에 대한 해결방한을
리포트로 해오라고 했는데, 의미적으로 볼 때
점착력 C가 높다는 것은 지반의 간극수가 점착력이
최고에 다다를수 있는 상태라고 생각해서 지반을
압밀을 시키던지, 아니면 강압적인 건조를 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론적으로 볼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잘 모르겠는데요
그것에 대해서 지도 편달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추석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비배수 상태일 경우 토압의 합이
Pa = 1/2rH^2 - 2CuH이라고 배웠습니다.
헌데 공식상으로 보면 높이 H는 정해져 있으니까,
점착력 C가 무한이 크게 된다면
현장의 지반 상태와는 다르게 힘의 합력이 0이거나
음수가 나올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해서 교수님께서 Rankine's의 이론에 대한 해결방한을
리포트로 해오라고 했는데, 의미적으로 볼 때
점착력 C가 높다는 것은 지반의 간극수가 점착력이
최고에 다다를수 있는 상태라고 생각해서 지반을
압밀을 시키던지, 아니면 강압적인 건조를 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론적으로 볼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잘 모르겠는데요
그것에 대해서 지도 편달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추석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