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가 알고있는 바로는 토압을 계산하기 위한 식에는
다음과 같은 가정조건이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먼저 토압을 가정하기 위해서 흙쐐기의 모양을 가정하게 되는데
이 흙쐐기의 모양은 님께서 말씀하신 역학적특성(내부마찰각 등)에
의해서 모양이 결정이 됩니다.
즉 이 파괴쐐기영역안에 다른 옹벽이 있게 되면 흙쐐기 모양은 변하게 되고
따라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토압산정식(예를 들어 Rankine, Coulomb 등)은
토압식을 산정하기 위한 가정에 위배가 되기때문에 사용할수가 없을것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토압과 수압계산: 김태학(kth010101@yahoo.co.kr) ┼
│ 토압과 수압의 계산식을 보면 옹벽에 수직인 방향의 영향이 고려되어 있지 않습니다.
│ 예를들어 극단적인 경우에 옹벽이 서로 마주보고 있고 간격이 10센티미터라도 똑같이 수압과 토압을 계산해야 하나요?
│ 수압은 똑같이 고려하는 것이 맞는 것 같은데, 토압은 토질의 역학적특성(내부마찰각 등)과 어떤 연관관계가 있지않나 생각됩니다.
┼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다음과 같은 가정조건이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먼저 토압을 가정하기 위해서 흙쐐기의 모양을 가정하게 되는데
이 흙쐐기의 모양은 님께서 말씀하신 역학적특성(내부마찰각 등)에
의해서 모양이 결정이 됩니다.
즉 이 파괴쐐기영역안에 다른 옹벽이 있게 되면 흙쐐기 모양은 변하게 되고
따라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토압산정식(예를 들어 Rankine, Coulomb 등)은
토압식을 산정하기 위한 가정에 위배가 되기때문에 사용할수가 없을것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토압과 수압계산: 김태학(kth010101@yahoo.co.kr) ┼
│ 토압과 수압의 계산식을 보면 옹벽에 수직인 방향의 영향이 고려되어 있지 않습니다.
│ 예를들어 극단적인 경우에 옹벽이 서로 마주보고 있고 간격이 10센티미터라도 똑같이 수압과 토압을 계산해야 하나요?
│ 수압은 똑같이 고려하는 것이 맞는 것 같은데, 토압은 토질의 역학적특성(내부마찰각 등)과 어떤 연관관계가 있지않나 생각됩니다.
┼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