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867
안녕하세요. 조재현님
1. 쓰레기 침하량을 구하는 공식 산정방법
현재 사용되고 있는 쓰레기 침하량을 구하는 공식은 님이 알고계신 압밀침하량공식과 동일한 식을 사용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침하순서
일반적으로 폐기물층의 압밀은 사력층이나 유기물층과 비슷한 양상으로 발생한다. 폐기물을 구성하는 개개의 물체가 하중에 의해 압력을 받고 뒤틀리면서 침하가 발생하며, 일반 점토의 이차압밀과같은 형태로 발생한다. 폐기물은 입자가 일반토사보다 크기 때문에 압밀시험시 기존으 표준압밀시험기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대형압밀시험기를 이용하는 것이 시험결과의 정확성에 있어서 유리하다.(Jessberger 등, 1993)
쓰레기매립지반은 상부건물의 하중에 의하여 즉시침하와 압밀침하외에 쓰레기의 생화학적 분해에 의한 부패침하가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일반토양보다는 상대적으로 침하량이 커지게 된다. 또한 통상 매립된 쓰레기의 성상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발생되는 침하량이 국부적으로 상이하여 부등침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구조물에 전단파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쓰레기의 분해에 의한 침출수 및 가스의 생성 등도 매립물의 체적을 감소시켜 침하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 즉, 쓰레기의 분해, 침출수 및 가스의 생성 등은 시간 의존적이기 때문에 건물축조 초창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장기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구조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Manassero(1996)는 매립지반의 침하를 유발하는 메카니즘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단계 : 역학적변형, 굴곡 파쇄 및 재조정 등에 의한 물리적인 압축(physical compression)
2 단계 : 대입자 사이의 간극으로 소립자의 이동에 의한 뒤엉킴 침하(ravelling settlement)
3 단계 : 고형물의 골격과 개별입자 또는 요소사이에 관계되는 점성거동 및 압밀현상(viscous behaviour and consolidation phenomena)
4 단계 : 유기물질의 생분해에 의한 부패침하 (decomposition settlement)
5 단계 : 무기물질의 부식, 산화 및 변질과 같은 물리화학적 변화에 의한 구성요소의 붕괴 (collapse)
매립지반 침하는 매립초기 몇 달 동안에는상당히 큰 침하가 발생하고, 그 이후에도 어는 정도 일정한 비율로 침하가 계속해서 일어난다. 초기침하를 일차압축이라 하고 그 이후의 침하를 이차압축이라 하는데, sowers(1973)는 이때 일차압축은 역학적인 작용에 기인하며 이차압축은 역학적인 이차압축, 물리화학 작용 그리고 생화학작용에 기인한다고 하였다.
폐기물 매립지반의 일반적인 침하양상은 쓰레기 매립지반 운용과정에서 다짐, 압축 및 분해 등에 의해 초기에 매우 많은 침하량이 유발되고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침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일정한 비율로 적지 않은 양의 침하가 계속 진행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쓰레기 매립지반의 일반적인 침하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침하
가. 역학적인 과정에 의한 침하
- 다짐 : 주로 일차
- 압축 : 일차압축과 이차
나. 물리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과정에 의한 침하
- 유기물 분해에 의한 고체성분의 체적감소 : 일차압축과 이차압축
- 주어진 유기물 함량과 하중하의 평형간극비 : 일차압축과 이차압축
다. 불균질성에 의한 국부적인 함몰침하
물리화학적 그리고 생화학적 작용은 매립지반의 주요한 침하원인이 된다.
위에서 언급한 매립물의 역학적 거동효과 이외에 매립물의 분해, 침출수 오염, 그리고 가스의 생성 등도 매립물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 의존적이고 주변환경요소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다.
3. 쓰레기 매립지에 대해서......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쓰레기 매립지에대해.....: 조재현(gost76@hanmail.net) ┼
│ 쓰레기 매립지에대해 알고 싶어염...
│ 1.쓰레기 침하량을 구하는 공식 산정방법
│ 2. 침하순서(예 압밀침하,,,즉시침하.......)
┼ 3. 쓰레기 매립지에 대해서...... ┼
1. 쓰레기 침하량을 구하는 공식 산정방법
현재 사용되고 있는 쓰레기 침하량을 구하는 공식은 님이 알고계신 압밀침하량공식과 동일한 식을 사용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침하순서
일반적으로 폐기물층의 압밀은 사력층이나 유기물층과 비슷한 양상으로 발생한다. 폐기물을 구성하는 개개의 물체가 하중에 의해 압력을 받고 뒤틀리면서 침하가 발생하며, 일반 점토의 이차압밀과같은 형태로 발생한다. 폐기물은 입자가 일반토사보다 크기 때문에 압밀시험시 기존으 표준압밀시험기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대형압밀시험기를 이용하는 것이 시험결과의 정확성에 있어서 유리하다.(Jessberger 등, 1993)
쓰레기매립지반은 상부건물의 하중에 의하여 즉시침하와 압밀침하외에 쓰레기의 생화학적 분해에 의한 부패침하가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일반토양보다는 상대적으로 침하량이 커지게 된다. 또한 통상 매립된 쓰레기의 성상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발생되는 침하량이 국부적으로 상이하여 부등침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구조물에 전단파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쓰레기의 분해에 의한 침출수 및 가스의 생성 등도 매립물의 체적을 감소시켜 침하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 즉, 쓰레기의 분해, 침출수 및 가스의 생성 등은 시간 의존적이기 때문에 건물축조 초창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장기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구조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Manassero(1996)는 매립지반의 침하를 유발하는 메카니즘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단계 : 역학적변형, 굴곡 파쇄 및 재조정 등에 의한 물리적인 압축(physical compression)
2 단계 : 대입자 사이의 간극으로 소립자의 이동에 의한 뒤엉킴 침하(ravelling settlement)
3 단계 : 고형물의 골격과 개별입자 또는 요소사이에 관계되는 점성거동 및 압밀현상(viscous behaviour and consolidation phenomena)
4 단계 : 유기물질의 생분해에 의한 부패침하 (decomposition settlement)
5 단계 : 무기물질의 부식, 산화 및 변질과 같은 물리화학적 변화에 의한 구성요소의 붕괴 (collapse)
매립지반 침하는 매립초기 몇 달 동안에는상당히 큰 침하가 발생하고, 그 이후에도 어는 정도 일정한 비율로 침하가 계속해서 일어난다. 초기침하를 일차압축이라 하고 그 이후의 침하를 이차압축이라 하는데, sowers(1973)는 이때 일차압축은 역학적인 작용에 기인하며 이차압축은 역학적인 이차압축, 물리화학 작용 그리고 생화학작용에 기인한다고 하였다.
폐기물 매립지반의 일반적인 침하양상은 쓰레기 매립지반 운용과정에서 다짐, 압축 및 분해 등에 의해 초기에 매우 많은 침하량이 유발되고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침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일정한 비율로 적지 않은 양의 침하가 계속 진행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쓰레기 매립지반의 일반적인 침하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침하
가. 역학적인 과정에 의한 침하
- 다짐 : 주로 일차
- 압축 : 일차압축과 이차
나. 물리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과정에 의한 침하
- 유기물 분해에 의한 고체성분의 체적감소 : 일차압축과 이차압축
- 주어진 유기물 함량과 하중하의 평형간극비 : 일차압축과 이차압축
다. 불균질성에 의한 국부적인 함몰침하
물리화학적 그리고 생화학적 작용은 매립지반의 주요한 침하원인이 된다.
위에서 언급한 매립물의 역학적 거동효과 이외에 매립물의 분해, 침출수 오염, 그리고 가스의 생성 등도 매립물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 의존적이고 주변환경요소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다.
3. 쓰레기 매립지에 대해서......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쓰레기 매립지에대해.....: 조재현(gost76@hanmail.net) ┼
│ 쓰레기 매립지에대해 알고 싶어염...
│ 1.쓰레기 침하량을 구하는 공식 산정방법
│ 2. 침하순서(예 압밀침하,,,즉시침하.......)
┼ 3. 쓰레기 매립지에 대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