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867
안녕하세요. 양은서님
무엇을 알고자 함인지 애매모호하네요.
어디까지 말씀을 드려야 할지도 모르겠고요.
아래의 내용이 부족하다면 지질학 책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참고: 일반적인 용어사전에 있는 내용입니다.
매립 埋立 reclamation
토사 등으로 메워 사용 가능한 토지를 조성하는 것. 보통 물이 있는 곳에 토사를 메워 새로운 육지를 조성하는 것을 말하며, 매립된 토지를 매립지라 한다. 매립방법으로서 육상의 경우는 모터스크레이퍼, 벨트컨베이어 등이 이용되고 수상인 경우는 흙운반선이나 펌프준설선 등이 이용된다.
퇴적토 堆積土 transported deposit
유수, 중력, 바람, 빙하 등의 운반작용에 의하여 모암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퇴적된 흙. 퇴적토는 이동방법에 따라 사면에서 붕락되는 것은 붕적토, 하천에 의해 운반된 것은 충적토, 빙하에 의해 운반된 것은 빙적토, 바람에 의해 운반된 것은 풍적토라 한다.
퇴적암 堆積岩 sedimentary rock
수중 또는 육상에 퇴적된 물질이 퇴적직후부터 받은 속성작용, 압밀작용, 교결작용을 받아 교결되어 조성된 암석. 퇴적암은 지구의 75%를 차지하며, 퇴적암에는 퇴적시의 환경을 나타내는 화석 등이 함유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퇴적암은 생성과정의 차이에 따라 쇄설암과 비쇄설암으로 크게 분류된다.
충적토 沖積土 alluvial deposit, alluvial soil
물에 의하여 운반, 퇴적된 흙. 상류에는 자갈, 모래 등이 퇴적되고 하류에는 실트, 점토 입자가 퇴적된다.
충적층 沖積層 alluviun, alluvial deposit
1.현재의 하천 작용에 의한 퇴적물.
2. 홍적세 후기인 충적세(약 1억8,000만년 전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지질시대)에 형성된 지층. 최저해수위(약-140m)부터 위로 현재의 하안, 해안 평야까지 두껍게 퇴적된 퇴적물로서 연대적으로는 하반부가 홍적세(갱신세)말기, 상반부가 충적세(완신세)에 속한다. 충적층은 일반적으로 낮은 해안평야를 이루고 지반이 연약한 것이 특징이다.
풍화토 風化土
암석이 풍화된 흙. 본래의 암조직이 그대로 남아있고, 균열이 많고, 인력으로 쉽게 굴착할 수 있을 정도로 풍화되어 있으며, 침식을 받기 쉬운 흙이다.
풍화암 風化岩 weathered rock
경암이 풍화작용에 의하여 연약해진 암석.
연암 軟岩 soft rock
토목공사를 할 때 대략적으로 분류한 암석명의 일종. 풍화암과 경암 중간의 공학적 성질을 나타내고 주로 리퍼작업으로 굴착할 수 있다. 대부분 폭파를 하지 않고 굴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제3기층에 해당된다. 특히 강도가 저하되기 쉬우므로 정확한 물성 평가를 할 때는 강도, 변형특성을 물론 함수상태와 불연속면 조건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토질의형태와성질을알고싶습니다: 양은서(ytyoung7@hanmail.net) ┼
│ 토목공학전문가 아저씨들 안녕하세요
│ 저는 토질에 대해 알고싶은 것이 있어 글을 씁니다
│ 아래의 토질에 대해 형태와 성질을알고싶어 도움을 청하오니 부디 바쁘시더라도
│ 도와주세요
│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 연암층, 풍화암, 충적층, 등입니다
│ e-mail 로 회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무엇이든 하시는 일 잘 되시길 기원할께여,
┼ 감사합니다 ┼
무엇을 알고자 함인지 애매모호하네요.
어디까지 말씀을 드려야 할지도 모르겠고요.
아래의 내용이 부족하다면 지질학 책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참고: 일반적인 용어사전에 있는 내용입니다.
매립 埋立 reclamation
토사 등으로 메워 사용 가능한 토지를 조성하는 것. 보통 물이 있는 곳에 토사를 메워 새로운 육지를 조성하는 것을 말하며, 매립된 토지를 매립지라 한다. 매립방법으로서 육상의 경우는 모터스크레이퍼, 벨트컨베이어 등이 이용되고 수상인 경우는 흙운반선이나 펌프준설선 등이 이용된다.
퇴적토 堆積土 transported deposit
유수, 중력, 바람, 빙하 등의 운반작용에 의하여 모암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퇴적된 흙. 퇴적토는 이동방법에 따라 사면에서 붕락되는 것은 붕적토, 하천에 의해 운반된 것은 충적토, 빙하에 의해 운반된 것은 빙적토, 바람에 의해 운반된 것은 풍적토라 한다.
퇴적암 堆積岩 sedimentary rock
수중 또는 육상에 퇴적된 물질이 퇴적직후부터 받은 속성작용, 압밀작용, 교결작용을 받아 교결되어 조성된 암석. 퇴적암은 지구의 75%를 차지하며, 퇴적암에는 퇴적시의 환경을 나타내는 화석 등이 함유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퇴적암은 생성과정의 차이에 따라 쇄설암과 비쇄설암으로 크게 분류된다.
충적토 沖積土 alluvial deposit, alluvial soil
물에 의하여 운반, 퇴적된 흙. 상류에는 자갈, 모래 등이 퇴적되고 하류에는 실트, 점토 입자가 퇴적된다.
충적층 沖積層 alluviun, alluvial deposit
1.현재의 하천 작용에 의한 퇴적물.
2. 홍적세 후기인 충적세(약 1억8,000만년 전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지질시대)에 형성된 지층. 최저해수위(약-140m)부터 위로 현재의 하안, 해안 평야까지 두껍게 퇴적된 퇴적물로서 연대적으로는 하반부가 홍적세(갱신세)말기, 상반부가 충적세(완신세)에 속한다. 충적층은 일반적으로 낮은 해안평야를 이루고 지반이 연약한 것이 특징이다.
풍화토 風化土
암석이 풍화된 흙. 본래의 암조직이 그대로 남아있고, 균열이 많고, 인력으로 쉽게 굴착할 수 있을 정도로 풍화되어 있으며, 침식을 받기 쉬운 흙이다.
풍화암 風化岩 weathered rock
경암이 풍화작용에 의하여 연약해진 암석.
연암 軟岩 soft rock
토목공사를 할 때 대략적으로 분류한 암석명의 일종. 풍화암과 경암 중간의 공학적 성질을 나타내고 주로 리퍼작업으로 굴착할 수 있다. 대부분 폭파를 하지 않고 굴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제3기층에 해당된다. 특히 강도가 저하되기 쉬우므로 정확한 물성 평가를 할 때는 강도, 변형특성을 물론 함수상태와 불연속면 조건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토질의형태와성질을알고싶습니다: 양은서(ytyoung7@hanmail.net) ┼
│ 토목공학전문가 아저씨들 안녕하세요
│ 저는 토질에 대해 알고싶은 것이 있어 글을 씁니다
│ 아래의 토질에 대해 형태와 성질을알고싶어 도움을 청하오니 부디 바쁘시더라도
│ 도와주세요
│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 연암층, 풍화암, 충적층, 등입니다
│ e-mail 로 회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무엇이든 하시는 일 잘 되시길 기원할께여,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