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867
안녕하세요. 이건행님
저판길이/6 안에 들어가야 된다고 누가 정의를 내린것인가요.
이것을 한번 생각해 보시죠.
상시설계시에는 편심거리를 저판길이/6 이지만
지진시에는 편심거리를 저판길이/3 입니다.
이 편심거리는 상시,지진시에 이보다 크지면 하중이 집중되어서 부등침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옹벽의 전도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지....
꼭 그런 것은 아닙니다.
경우에 따라서 이 편심의 범위를 초과하는 것이 경제적인 설계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이 범위에 들어가면 옹벽의 전도에 대해서 안정하다고 하는 것이지요.
범위를 초과한다고 해서 다음 단계에 계산이 안되는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
다 그냥 계산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옹벽의 하중의 편심은.........: 이건행(keonhaeng@hanmail.net) ┼
┼ 옹벽에서 하중의 저판의 길이에 대한 편심거리 e는 (저판길이/6)안에 들어가야 한다고 되어 있는데 지반반력 계산시에 e가 (저판길이/6)보다 큰 경우에 계산하는 방법도 나와 있는거져? 이중적인 것 같네여....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
저판길이/6 안에 들어가야 된다고 누가 정의를 내린것인가요.
이것을 한번 생각해 보시죠.
상시설계시에는 편심거리를 저판길이/6 이지만
지진시에는 편심거리를 저판길이/3 입니다.
이 편심거리는 상시,지진시에 이보다 크지면 하중이 집중되어서 부등침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옹벽의 전도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지....
꼭 그런 것은 아닙니다.
경우에 따라서 이 편심의 범위를 초과하는 것이 경제적인 설계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이 범위에 들어가면 옹벽의 전도에 대해서 안정하다고 하는 것이지요.
범위를 초과한다고 해서 다음 단계에 계산이 안되는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
다 그냥 계산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옹벽의 하중의 편심은.........: 이건행(keonhaeng@hanmail.net) ┼
┼ 옹벽에서 하중의 저판의 길이에 대한 편심거리 e는 (저판길이/6)안에 들어가야 한다고 되어 있는데 지반반력 계산시에 e가 (저판길이/6)보다 큰 경우에 계산하는 방법도 나와 있는거져? 이중적인 것 같네여....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