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867
안녕하세요. 저는 건축구조분야에서 종사를 하고 있습니다.
토목에 관련된 부분에 궁금한 점이 많았는데 이 사이트가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m 높이의 수조에서 수조저면의 수압은 높이와 비례하여 10t/m^2이 됩니다.
이때 가장 아래쪽 수조측면의 최대측압도 10t/m^2이 됩니다.
그런데 수조폭이 깊이에 비하여 작은 경우, 측압이 높이에 단순비례하는지 궁금합니다.
여기에서는 수조폭이 10m미만일 경우에 해당됩니다.
토압도 마찬가지이겠지요.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계수 산정 시,
흙의 깊이만 고려할 뿐, 흙의 폭에 대한 항목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단순히 깊이에 지배를 받는다는 의미인데, 직관적으로 와 닿지 않습니다.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토목에 관련된 부분에 궁금한 점이 많았는데 이 사이트가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m 높이의 수조에서 수조저면의 수압은 높이와 비례하여 10t/m^2이 됩니다.
이때 가장 아래쪽 수조측면의 최대측압도 10t/m^2이 됩니다.
그런데 수조폭이 깊이에 비하여 작은 경우, 측압이 높이에 단순비례하는지 궁금합니다.
여기에서는 수조폭이 10m미만일 경우에 해당됩니다.
토압도 마찬가지이겠지요.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계수 산정 시,
흙의 깊이만 고려할 뿐, 흙의 폭에 대한 항목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단순히 깊이에 지배를 받는다는 의미인데, 직관적으로 와 닿지 않습니다.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