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867
안녕하세요. 이상진님
님의 질문하신 내용에 이상한 답변을 했네요. 죄송
토압에서 지중응력을 구할 때
즉 수직응력 = 단위중량 * 깊이 로 구합니다.
이때 조건이 하나 있는데
이 조건이 지표면이 수평이고 흙의 특성이 수평방향으로 거의 변하지 않는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깊이에 비하여 폭이 좁을 경우에는 토압이 적게 작용하는 것이 당연한 이치입니다.
그러나 아직 이것을 계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적용하는데는 규명이 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나 각 구조물의 해석에 있어서 나름데로 적용하고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령 옹벽과 같은 구조물의 경우 이러한 경우 특수한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시행쐐기법과 같은 방법으로 토압을 구하여 산정합니다.
그리고 다른 방법은 FEM,FDM 과 같은 유한요소,차분법을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도 일종의 방법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토압에서는 토압을 받는 구조물에 따라 연성구조물, 강성구조물 즉 변위를 허용하는 구조물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토압의 분포도도 달라집니다. 즉 직선, 선형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원하시는 답변을 못드려서 죄송합니다. 아직 지식이 부족해서 죄송...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단위폭에 수직인 깊이를 의미합니다.: 이상진(some4you@hanmail.net) ┼
│ 제가 말씀드린 폭은 벽면에 수평방향이 아닌 수직방향의 폭, 즉 깊이(벽의 면외방향)를 의미합니다.
│ 쉽게 말해 깊이는 같지만,
│ 너비가 얇은(깊이보다 작은) 수조의 측압과
│ 너비가 넓은(깊이보다 큰) 수조의 측압이 동일하느냐하는 것입니다.
│ 토압도 마찬가지겠지요.
┼ ┼
님의 질문하신 내용에 이상한 답변을 했네요. 죄송
토압에서 지중응력을 구할 때
즉 수직응력 = 단위중량 * 깊이 로 구합니다.
이때 조건이 하나 있는데
이 조건이 지표면이 수평이고 흙의 특성이 수평방향으로 거의 변하지 않는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깊이에 비하여 폭이 좁을 경우에는 토압이 적게 작용하는 것이 당연한 이치입니다.
그러나 아직 이것을 계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적용하는데는 규명이 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나 각 구조물의 해석에 있어서 나름데로 적용하고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령 옹벽과 같은 구조물의 경우 이러한 경우 특수한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시행쐐기법과 같은 방법으로 토압을 구하여 산정합니다.
그리고 다른 방법은 FEM,FDM 과 같은 유한요소,차분법을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도 일종의 방법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토압에서는 토압을 받는 구조물에 따라 연성구조물, 강성구조물 즉 변위를 허용하는 구조물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토압의 분포도도 달라집니다. 즉 직선, 선형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원하시는 답변을 못드려서 죄송합니다. 아직 지식이 부족해서 죄송...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단위폭에 수직인 깊이를 의미합니다.: 이상진(some4you@hanmail.net) ┼
│ 제가 말씀드린 폭은 벽면에 수평방향이 아닌 수직방향의 폭, 즉 깊이(벽의 면외방향)를 의미합니다.
│ 쉽게 말해 깊이는 같지만,
│ 너비가 얇은(깊이보다 작은) 수조의 측압과
│ 너비가 넓은(깊이보다 큰) 수조의 측압이 동일하느냐하는 것입니다.
│ 토압도 마찬가지겠지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