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임노열님

제 견해를 .....

1. 지하수위가 N치 및 평판재하시험 결과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예:기초 평판재하 시험시 지하수위를 낮추고 시험하여 지내력이 30TON/M2으로
나왔을 경우에 지하수위가 기초보다 높을 경우 지하수위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지가 궁금합니다)
>>
N치와 평판재하시험 둘다 현장에서 직접시험하는 방법으로 현장상태를 잘 반영한 결과입니다.
그러나 이 측정한 N치나 평판재하시험을 사용하실 경우에는
N치의 경우에는 지하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유효상재하중에 대한 보정방법, 포화된 모래에 대한 보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N치를 측정한 경우와 현재 상태가 상이하다면 위의 부분을 한번 고려해 보아야 하겠네요.
그러나 보통 N치의 경우 지하터파기등의 인위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이기 때문에 사용에 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이 되네요.

그러나 평판재하시험의 경우 기초의 최종굴착면에서 측정이 되기 때문에 기초의 근입깊이에 대한 보정을 하여야 합니다.
간단하게 표시하면

qtest + 1/Fs * 단위중량 * 근입깊이 * Nq(지지력계수)

로 qtest 평판재하시험 결과에 근입깊이에 대한 부분을 보정합니다.

2. 슬러리 월 현장에서 접지압이 다른 경우(충적층과 암반층) 부등침하의 관계등에
대해 궁금.
>>
충적층과 암반층이라면 상당히 성질이 상이한 토층인데 이러한 경우에 접지압이 상당히 다르게 나올것 같네요. 충적층과 암반층에 대한 침하량 검토를 실시하여 부층침하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야 겠습니다.
그러나
충적층에 슬러리월의 지지층이 된다면 문제가 많이 발생할 것 같은데 당 현장의 구조계산서나 시방서 부분을 한번 살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지지층이 어떤 조건으로 되어 있는지를.....

3. 지하수 토출량 산출시 공사중 토출량과 전면 매트기초로 하여 공사후의 토출량의
산정 및 상관관계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이건 모르겠네요.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지하수 및 부등침하에 대한 문의: 임노열(nylim019@hanmail.net) ┼
│ 안녕하세요.
│ 아래의 사항등에 대하여 궁금하여 질문합니다.
│ 1. 지하수위가 N치 및 평판재하시험 결과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 (예:기초 평판재하 시험시 지하수위를 낮추고 시험하여 지내력이 30TON/M2으로
│ 나왔을 경우에 지하수위가 기초보다 높을 경우 지하수위에 대한 보정이
│ 필요한지가 궁금합니다)
│ 2. 슬러리 월 현장에서 접지압이 다른 경우(충적층과 암반층) 부등침하의 관계등에
│ 대해 궁금.
│ 3. 지하수 토출량 산출시 공사중 토출량과 전면 매트기초로 하여 공사후의 토출량의
│ 산정 및 상관관계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