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손인엽님
콘지수를 가지고 Sand Mat의 두께를 계산을 한다는 것은 타설장비의 주행성(Traffica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겠지요.
그래서 일반적으로 Sand Mat의 두께는 50~100cm가 사용되고 있으며 표층의 콘지지력에 따른 Sand Mat의 두께는 님이 알고 계신것과 같이

2.0 이상 => 50
1.0 < qc < 2.0 => 50 - 80
0.75 < qc < 1.0 => 80 - 100
0.50 < qc < 0.75 => 100 - 120
0.5 이하 => 120

으로 되어 있습니다.(도로설계요령이라는 곳에 있을 겁니다.)

70cm 까지는 0.8
80cm 이상는 2.0 이라면

원지반을 80cm 을 제거하고 qc=2.0 이니까 모래를 50cm 포설을 하시던지
원지반의 표층이 qc=0.8 이니까 모래를 80 - 100cm 포설을 하면 되겠네요.

대부분 원지반을 제거하는 경우는 아직 못본것 같네요.

장비의 주행성에 중심을 두고 생각을 하세요.....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콘관입시험문의: 손인엽(inyoup@kornet.net) ┼
│ 안녕하세요
│ 항상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휴대형콘 관입시험시 연약층표면의 콘지수에 따라 모래층의 포설 두께를
│ 결정 하도록 되어 있는바 시방서에 연약지반 표층에 대하여 pc=2.0 이상은 50센티를
│ 포설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 하면 표층의 두께는 얼마로 생각을 하는지..
│ 가령 70센티가지는 0.8
│ 80센티 이상은 2.0이라면 상부지반은 제거후 모래포설이 되어야 하는지..
│ 간단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