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867
안녕하세요. 신재욱님
기초의 형태를 선정할때 지반조건에 따른 지내력도 중요한 요소이지만
그것에 추가하여
상부구조물의 형태 즉 하중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간단하게 흘탕물위에 종이를 놓아도 가라앉지 않는 경우도 있고
반면에
백사장에서 사람이 지나가면 발자국이 남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의 경우와 같이 기초는 상, 하부의 조건을 둘 모두 만족하여야한 올바른 기초의 선정이 이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기초에 관련된 사항을 해석하는 경우에
토질역학을 기본으로 지반공학, 기초공학으로 이루어지는데
님의 질문의 경우에는 공학적으로 해석을 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닙니다.
참고로 전반적인 기초의 선정의 흐름은 ....
가. 상부구조물의 형태와 하중결정
나. 지반강도정수 결정
다.
가,나을 가지고 기초형태 선정으로 흐름이 이루어집니다.
다 항에서 안정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므로 어떤 기초가 선정될 것인지는 아무도 모르죠...
다만 일반적인 순서가
얕은기초을 먼저 검토하고
다음으로
깊은 기초 순으로 갑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건축물의 기초 선정 조건??: 신재욱(sjwks@hanmail.net) ┼
│ 거두절미하구 질문 드리겠습니다...레포트 자료 준비 중입니다..
│
│ 건축물에서 기초들의 종류(독립, 연속, 매트, 파일기초...) 중 지반의 지내력이나 지질의 구성 및 특성 등에 따른 기초 선정의 조건이 궁금합니다.
│
│ 일반적으로 조적구조에서는 연속기초, 라멘구조는 독립기초, 지반이 약할 경우 매트기초나 파일기초 등이 쓰이는 걸루 알고 있는데, 좀 더 자세히 지내력이 얼마일 때, 지질이 어떤 상태일 때 각 기초들이 선정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
기초의 형태를 선정할때 지반조건에 따른 지내력도 중요한 요소이지만
그것에 추가하여
상부구조물의 형태 즉 하중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간단하게 흘탕물위에 종이를 놓아도 가라앉지 않는 경우도 있고
반면에
백사장에서 사람이 지나가면 발자국이 남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의 경우와 같이 기초는 상, 하부의 조건을 둘 모두 만족하여야한 올바른 기초의 선정이 이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기초에 관련된 사항을 해석하는 경우에
토질역학을 기본으로 지반공학, 기초공학으로 이루어지는데
님의 질문의 경우에는 공학적으로 해석을 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닙니다.
참고로 전반적인 기초의 선정의 흐름은 ....
가. 상부구조물의 형태와 하중결정
나. 지반강도정수 결정
다.
가,나을 가지고 기초형태 선정으로 흐름이 이루어집니다.
다 항에서 안정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므로 어떤 기초가 선정될 것인지는 아무도 모르죠...
다만 일반적인 순서가
얕은기초을 먼저 검토하고
다음으로
깊은 기초 순으로 갑니다.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건축물의 기초 선정 조건??: 신재욱(sjwks@hanmail.net) ┼
│ 거두절미하구 질문 드리겠습니다...레포트 자료 준비 중입니다..
│
│ 건축물에서 기초들의 종류(독립, 연속, 매트, 파일기초...) 중 지반의 지내력이나 지질의 구성 및 특성 등에 따른 기초 선정의 조건이 궁금합니다.
│
│ 일반적으로 조적구조에서는 연속기초, 라멘구조는 독립기초, 지반이 약할 경우 매트기초나 파일기초 등이 쓰이는 걸루 알고 있는데, 좀 더 자세히 지내력이 얼마일 때, 지질이 어떤 상태일 때 각 기초들이 선정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