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종민님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번 질문에 대한 답변

일반적으로 천공직경이 파일직경보다 큽니다.
항타에 대한 내용은 2번질문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
홈페이지 >> 기술자료 >> 지반기술용어해설 >> 25. 매입말뚝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질문에 대한 답변

이 공법이 '프리보링'이라고 해서 4~5m를 프리보링한 다음 항타하는 공법과는 어떻게 다른지요?
>>
위의 사항은 항타공법적용시 말뚝설치위치의 상부층에 하부층보다 단단한 층이 존재하거나 전석과 같이 항타로 관입이 불가능한 경우에 미리 일정한 구간을 천공한 후에 항타공법을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추가적으로 항타시에는 항타시 말뚝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서 쿠션이나 타격력등을 먼저 산정하는데 위의 조건 즉 상부층에 단단한 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비 경제적인 요소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경우에 먼저 이 구간을 프리보링으로 천공한 후에 말뚝을 항타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관입시키는 방법을 적용합니다.
이 프리보링공법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일반적인 말뚝항타공법인지요..?
>>
프리보링공법은 흔히 말하는 것은 말뚝항타공법이 아니고 매입공법을 말합니다.

요즘 말뚝시공법이 하도 많이 나와서 저도 애매모호한 경우가 많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천공후 매입말뚝공법의 장비: 최종민(cjm4955@korea.com) ┼
│ 말뚝기초 시공법 중 '천공후 매입말뚝공법'과 관련하여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 1. 이 공법에서 천공직경이 파일직경보다 크도록 보링한다음 파일을 '매입'하는 것인지,
│ 혹은 천공직경을 파일직경보다 작게 보링한다음 파일을 '항타'하는 것인지를 먼저 여쭙습니다.
┼ 2. 이 공법이 '프리보링'이라고 해서 4~5m를 프리보링한 다음 항타하는 공법과는 어떻게 다른지요? 이 프리보링공법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일반적인 말뚝항타공법인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