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수 867
1. 제가 지반공학에 관련된 책자를 보고있는데 "동적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비가 흙의 동적 특성 해석에 주로 사용되는데 그이유는?"...이런 연습문제가 나오더군요...그런데 답을 못찾겠습니다...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또한 다른 연습문제들에도 지반의 액상화 발생 가능 심도를 추정할때
검토지점의 지표면 최대가속도는 0.15g 또는 0.16g등등...으로 가정하는데 그렇게 가정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3. 흙의 동적특성치(동적전단탄성계수, 감쇠비)를 구하는 시험을 할때
"대상 지반에 진동을 가하고 s파나 p파의 도달시간을 측정하여 동적전단탄성계수를 결정"한다는데 그렇게하여 결정되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알고싶습니다...
4. 감쇠비 라는 것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좀더 쉽게 풀이해놓은 책이 있다면 소개시켜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번에 너무많은 질문을 두서없이 올려서 죄송합니다...수고하세요...
2. 또한 다른 연습문제들에도 지반의 액상화 발생 가능 심도를 추정할때
검토지점의 지표면 최대가속도는 0.15g 또는 0.16g등등...으로 가정하는데 그렇게 가정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3. 흙의 동적특성치(동적전단탄성계수, 감쇠비)를 구하는 시험을 할때
"대상 지반에 진동을 가하고 s파나 p파의 도달시간을 측정하여 동적전단탄성계수를 결정"한다는데 그렇게하여 결정되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알고싶습니다...
4. 감쇠비 라는 것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좀더 쉽게 풀이해놓은 책이 있다면 소개시켜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번에 너무많은 질문을 두서없이 올려서 죄송합니다...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