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윤창기님
히빙과 보일링의 차이점....

1. 히빙

가. 히빙은 일반적으로 아래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지반이 위로 들어올려지는(부풀어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이 아래로부터의 압력은 피압된 지하수이기도 하고, 굴착한 경우의 양측의 흙의 무게가 원호활동 파괴를 일으키는 압력이기도 하다.

나. 히빙은 "무거운 것이 일어나는 상태, 토지 등이 융기하는 상태, 팽상하는 것, 지층 등이 어긋나는 것" 등을 의미하는 말로써, "부풀어 오르는 것"으로 정의된다.

다. 지반을 굴착할 때 흙막이벽 배면의 흙중량에 의하여 배면이 전단파괴되어 침하하면서 흙막이벽 저부를 돌아 굴착바닥을 밀어 올려 굴착면이 부푸는 현상

2. 보일링

가. 물이 끓어 오르는 뜻의 영어, Boiling이 어원이며, 이 이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흙이 물과 함께 끓어 오르는 상태가 보일링 현상이다.

나. 물의 상향침투력에 의하여 모래가 전단강도를 잃고 지표면위로 치솟아 지반이 파괴되는 현상. 투수성이 큰 사질지반에서 흙막이공을 강널말뚝으로 하여 굴착할 경우 굴착저면 침투수의 상향력이 흙의 유효중량보다 크면 모래는 무중력 상태로 되므로 수중에 부유하여 모래는 액상화된다. 이러한 모래의 상태를 퀵샌드(quick sand)현상이라 하며, 이것이 발생하면 지반은 지지력을 잃으므로 모래는 지표면상으로 유출되어 지반이 파괴되는 현상을 보일링이라 한다. 보일링의 위험성이 있을 경우는 강널말뚝면을 따라서 시멘트그라우트, 약액주입 등을 하여 지반개량을 한다.

참고로....
3. 파이핑

파이핑은 지반 내에 생긴 파이프 형태의 물길을 통하여 지하수가 유출되는 현상을 말하며, 이것은 주로 점질지반에 모래가 많은 곳 또는 강도가 약한 부분을 지하수가 돌파하여 집중적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이다.

상기의 내용을 살펴보면....
히빙현상이 꼭 점성토에서 발생한다고 볼 수는 없다. 연약한 점성토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절토사면에서의 경우 사면의 활동력에 의하여 저항력이 적을 경우 사면 하부에 점성토지반이 아니라 하더라도 전단파괴가 발생하여 히빙이 발생한다.

그리고 보일링현상은 모래지반에서만 발생한다. 점토지반에서는 지하수위의 차에 의해서 즉, 동수경사에 의하여 물의 침투가 일반적으로 투수계수가 적어 보일링현상 물이 끓어 오려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약한 부분을 통하여 파이핑현상이 발생한다.

한 예를 통하여 점성토에서 피압수에 의하여 보일링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히빙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굴착면에 일정한 뚜께의 점토층이 존재하고 하부에 피압대수층이 존재할 경우 이 피압대수층에 의하여 상향의 힘이 발생할 경우
점토층의 경우 투수계수가 낮아 (투수계수가 높으면 피압대수층 자체가 생성되지 않음) 물의 배출을 허용하지 않고 점토층 자체의 하중이 이 피압대수층의 상향의 힘을 견디지 못할 경우 점토층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도 히빙현상이다.

끝으로 실무에서 일반적으로 특히 굴착면의 안정을 검토할 경우 점성토지반에서는 히빙검토를 사질토지반에서는 보일링 검토를 하는 이유가 히빙의 경우 연약한 점성토에서 보편적으로 발생하며 보일링의 경우에는 투수계수가 높은 사질토지반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유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히빙은 점성토, 보일링은 사질토로 고정되어 가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제 생각으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히빙과 보일링에 대한 계산방법과 자세한 내용은
메인메뉴 우측에 있는 기술자료검색을 클릭하여 히빙, 보일링 이란 검색어로 검색하시면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설 잘 지내시고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히빙현상: 윤창기(yoonck119@hanmail.net) ┼
│ 안녕하세요
│ 저는 히빙과 분사현상 혹은 보일링의 차이점을 명확히 알고 싶어서
│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보통 히빙은 연약한 점성토 지반을 ....... 해서 점성토에서 발생하며
│ 보일링은 사질토 지반에서 생긴다는데 그러면 사질지반에서는 히빙
│ 의 발생이 전혀 없다는 겁니까? 그렇다면 히빙현상이 사질토에서
│ 생기지 않는 이유를 알고 싶어요. 아니면 단순히 점성토냐 사질토냐
│ 에 따라 구별을 위한 정의일 뿐입니까? 그리고 유선망에서 구하는
│ 침투수량은 이를 구해서 어디에 이용하려는 목적인지 추가로
┼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