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건행님

대부분 옹벽설계프로그램에서 입력방식이 간격과 양(%)으로 입력하고 자동으로 이 조건에 만족하는 직경을 구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시방서 규정이 %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인것 같네요.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벽체 수평(온도)철근 검토

수평철근 직경 : D16
수평철근 간격 : 250 mm
사용 수평철근량 : 7.944 ㎠
최소 수평철근비 = 0.25 %

콘크리트의 수화열, 온도변화, 건조수축 등을 고려하여 부재의 한면에
대하여 D16@250mm 를 각각 배근하면

사용수평철근비 = 2×As / (B·H) = 0.257 % ≥ 0.25 % ∴O.K

▷ 저판 수평(온도)철근 검토

수평철근 직경 : D22
수평철근 간격 : 300 mm
사용 수평철근량 : 12.903 ㎠
최소 수평철근비 = 0.25 %

콘크리트의 수화열, 온도변화, 건조수축 등을 고려하여 부재의 한면에
대하여 D22@300mm 를 각각 배근하면

사용수평철근비 = 2×As / (B·H) = 0.289 % ≥ 0.25 % ∴O.K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옹벽에 사용되는 철근에 대해서...: 이건행(keonhaeng@hanmail.net) ┼
│ 전 대학 3학년 재학생인데요 옹벽설계하는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짜고 있습니다...
│ 저희 교수님이 숙제로...ㅜㅜ
│ 뒷굽판을 설계하는데 전단철근을 사용하지 않는경우
│ 폭을 넓혀주면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유효깊이(d)가 계산에 사용되는데
│ 그러려면 철근의 종류를 알아야하지 않나요? 앞굽판이나 벽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구요.그런데 어떤 사이즈의 철근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철근비만 비교하니까 큰사이즈건 작은 사이즈건 상관없는지 아니면 어떤 규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옹벽설계프로그램들을 찾아 실행해봤는데 철근강도만 입력하고 종류는 입력하지 않는 경우가 많더군요..ceg4u에서 제공하는것도 실행해봤는데 설계보다는 해석쪽에 가까운것 같아서요...답변 부탁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