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9. 이수공법 |
|
||
|
|
|
|
|
이수를 사용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지중에 벽체, 말뚝 및 터널 등을 축조하는 시공법의 총칭을 이수공법이라 하며, 굴착단면 등의 차이에 의하여 표 79-1과 같이 분류된다. 표 79-1 이수공법 개요 지질조사, 지하수 및 석유 등의 채굴을 목적으로 하는 보링시에도 이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들은 이수공법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수공법에서는 이수의 이막형성에 의하여 굴착벽면에 불투수성 이막이 형성되면 여기에 이수압이 작용하여 지반을 안정시키며, 이 때문에 이수를 안정액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이수순환 굴착방식에 소요의 유동특성을 가진 이수를 사용하면 이수는 굴착토사를 포용하여 반출하기 쉽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벤토나이트를 주로하는 벤토나이트이수, 수용성 고분자를 주로하는 폴리머이수가 사용된다. 리버스서큘레이션드릴 공법 및 이수쉴드공법으로 점성토지반 굴착시는 맑은 물을 사용하지만 이 때에도 사용중에 굴착토가 분산, 혼합되기 때문에 순환수는 이수형태로 되어 실트이수 또는 점토이수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들 공법은 널리 보급되고 있느 가운데 새로 개량, 개발이 되고 있으며, 연속지중벽공법에서는 지중벽의 대심도화 및 이수 고화연속벽공법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이수고화연속벽공법은 굴착이수를 굴착구 내에서 고화시키는 공법이며, 공작에서 제작한 PC판을 삽입한 후 이수를 고화시키는 공법도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이수공법은 소음, 진동,지반침하 등이 적어 비약적으로 발전되었으나 최근에는 페이수가 환경오염 문제로 되고 있어 그 처리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