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화재와 해성점토와의 혼합비가 어느정도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 제가 일전에 실험한 결과를 봐도 최대건조단위중량이 일정량의 혼합비 이상이면
- 감소하는 것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 님의 실험결과가 잘못된 것이라고는 생각을 할 수는 없다고 전 생각을 하는데요
┼ 고화재 관련 질문입니다.: 이상진(ldustin@hanmail.net) ┼
│ 안녕하십니까?
│ 시멘트 고화재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개량에 관해
│ 연구하고 잇는 학생입니다.
│ 다름이 아니라 제가 시멘트 고화재를 이용하여
│ 해성 점성토와 혼합하여 강도 실험을 하였습니다.
│ 제가 생각하기에 고화재의 량이 많이 들어갈수록 강도가 크게 나와야 함이
│ 정상인 것으로 생각되는데
│ 실험결과 일정량 이상을 혼합하였더니 오히려 강도가 감소하였습니다.
│ 혹여 실험이 잘못되었을까 싶어 여러번 해 보았으나 같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났는지 궁금하여 질문을 드립니다.
│ 시멘트성 고화재의 특성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그러한 경향을 보일수 있는
│ 시료의 상태는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제가 사용한 시료는 바다에서 채취한 시료로
│ 일정 염분이 포함되어 잇으며 유기질 성분이 조금 있습니다.
│ 사용시료의 함수비는 약 150% 정도이고 입자는 아주 미세합니다.
┼ 빠른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 제가 일전에 실험한 결과를 봐도 최대건조단위중량이 일정량의 혼합비 이상이면
- 감소하는 것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 님의 실험결과가 잘못된 것이라고는 생각을 할 수는 없다고 전 생각을 하는데요
┼ 고화재 관련 질문입니다.: 이상진(ldustin@hanmail.net) ┼
│ 안녕하십니까?
│ 시멘트 고화재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개량에 관해
│ 연구하고 잇는 학생입니다.
│ 다름이 아니라 제가 시멘트 고화재를 이용하여
│ 해성 점성토와 혼합하여 강도 실험을 하였습니다.
│ 제가 생각하기에 고화재의 량이 많이 들어갈수록 강도가 크게 나와야 함이
│ 정상인 것으로 생각되는데
│ 실험결과 일정량 이상을 혼합하였더니 오히려 강도가 감소하였습니다.
│ 혹여 실험이 잘못되었을까 싶어 여러번 해 보았으나 같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났는지 궁금하여 질문을 드립니다.
│ 시멘트성 고화재의 특성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그러한 경향을 보일수 있는
│ 시료의 상태는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제가 사용한 시료는 바다에서 채취한 시료로
│ 일정 염분이 포함되어 잇으며 유기질 성분이 조금 있습니다.
│ 사용시료의 함수비는 약 150% 정도이고 입자는 아주 미세합니다.
┼ 빠른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