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이 꼭 연약지반상에서만 판단을 원하시면 해석영역의 설정을 연약지반상에만 위치하시고 해석을 수행하시던지....
소요안전율을 지정하여 소요안전율 이하의 파괴면을 확인하여 연약지반상에서 발생여부를 체크하시던지 하시면 됩니다.
아님 환경설정에서 파괴면의 최소반경을 크게 잡고 해석을 수행하심 원하는 결과를 플로트 하실 수 있을 겁니다.

에서 연약지반에서만 위치하고 해석을 수행하는 것,
소요안전율을 지정하였으나 소요안전율 이상의 파괴면이 나타나며
파괴면의 최소반경을 크게잡는 방법중에 원점방을 높이 올리는 방법말고 숫자로 최소반경을 지정하는 방법이 있는지?
이전2.0버전에서 해석하였을시 본 파일은 2.19정도가 나왔고 연약지반에서 파괴가 되어지는 걸로 해석되었으나 3.0버전으로 해석하였을시에는 성토사면에서 파괴가 이루어 지는데 2.0버전과 3.0버전에서 해석상 다른 무엇이 있는지 알고 싶음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