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형주님

파일제원이 steel-pipe 508x12인것 같은데 정상적으로 입력된 것 같습니다.(부식고려여부 확인바람. 현재 고려되지 않은 것 같은데)

그리고 파일제원이 바뀌면서 전단응력이나 휨응력의 경우
응력개념이기 때문이 파일이 강관, 콘크리트 그리고 특수한 경우 장 단기 검토의 조건에 따라 변경이 됩니다.
즉 다시말하면
같은 조건에서 같은 재질의 파일을 사용하면 동일함.

해석에 주는 영향은 당연히 줍니다. 그 크기에 대해서는 말뚝의 역할에 따라 다릅니다.
현재 님이 보내 주신 자료의 경우에는 최종결과로 보면 말뚝의 영향이 없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영향이 미소하나 다른 경우에는 크게 작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말뚝데이타베이스에 대한 사항은 다음 업그레이드시 고려하겠습니다.

******** 지층구분시 잘못된 사항 ...그냥 넘어갈 뻔 했네요.

님의 데이타를 보아 내수면이 존재하는 것 같은데
내수면이 존재할 경우 지하수위라인만 처리하시면 안됩니다.
내,외수면이 존재할 경우 적용하는 방법이 몇가지 있는데
slopile 에서는 내, 외수면을 하나의 지층으로 구분한 후 지하수위라인을 지층상부로 입력하여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님의 데이타 경우 내수면의 영향이 그렇게 크게 작용하지 않아 안전율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는 영향을 크게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문의사항은 전화 주세요....

그럼 이만...

┼ 벽강관 해석에 대해 궁금증..??: 이형주(knighthoods@hanmail.net) ┼
│ sheet pile 해석이 되지 않아 벽강관 개념으로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간격비를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는데...이런 해석이 올바른건지 데이타를 보시구 판단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중심간 간격이 아닌 말뚝간격이 17cm)
│ 그리고 파일제원에서 관성모멘트나 단면적 그리고 단면계수 등이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파일제원이 바뀌면서 전단응력이나 휨응력이 경우 수치가 어떻게 변화를 시켜야 되는지 이런것이 해석이 큰 영향을 주는지 알고 싶습니다.

┼ 마지막으로 데이타 베이스로 각 말뚝의 제원 (h형 말뚝포함)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강관말뚝의 제원을 업데이트 시켜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