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묻고답하기 >> SLOPILE 관련 : 사면안정/교대측방유동/억지말뚝/보강사면(앵커, 네일 등) 해석 프로그램
글수 481
안녕하세요. 권성호님
교대물성치를 크게 주어도 교대부분이 적용되는 절편의 크기에 따라 영향이 적을 경우에는 교대를 치고나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근본적으로 교대내로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해석영역을 강제로 지정하여 해석을 수행하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환경설정>>해석기본옵션에서 파괴영역을 지정할 수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토질정수를 잠깐 보았는데 탄성계수가 너무 큰 것 같습니다.
홈페이지 >> SLOPILE >> 관련논문 또는 게시판에 SLOPILE에서 사용하는 탄성계수에 대해 보편적인 값을 제시한 것이 있습니다. 한번 참고하시기 바라며 특히 ES1의 경우에는 파괴면의 상부 즉 파괴가 발생하였을 경우 토체가 저항하는 의미입니다. 검토바랍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 검토부탁드립니다...: 권성호(nogada10@hanmail.net) ┼
│ 안녕하세요..동성엔지니어링 권성호라고 합니다..
│ 말뚝 고려 시 해석 결과 파괴면이 계속해서 교대를 치는데....왜 그런건지요...
│ 교대 물성치를 더 크게줘도 안되고...말뚝 제원을 작게 주면 교대 뒤로 치긴하는데..
┼ 뭐가 잘못됐는지 검토부탁드려요~~ ┼
교대물성치를 크게 주어도 교대부분이 적용되는 절편의 크기에 따라 영향이 적을 경우에는 교대를 치고나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근본적으로 교대내로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해석영역을 강제로 지정하여 해석을 수행하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환경설정>>해석기본옵션에서 파괴영역을 지정할 수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토질정수를 잠깐 보았는데 탄성계수가 너무 큰 것 같습니다.
홈페이지 >> SLOPILE >> 관련논문 또는 게시판에 SLOPILE에서 사용하는 탄성계수에 대해 보편적인 값을 제시한 것이 있습니다. 한번 참고하시기 바라며 특히 ES1의 경우에는 파괴면의 상부 즉 파괴가 발생하였을 경우 토체가 저항하는 의미입니다. 검토바랍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 검토부탁드립니다...: 권성호(nogada10@hanmail.net) ┼
│ 안녕하세요..동성엔지니어링 권성호라고 합니다..
│ 말뚝 고려 시 해석 결과 파괴면이 계속해서 교대를 치는데....왜 그런건지요...
│ 교대 물성치를 더 크게줘도 안되고...말뚝 제원을 작게 주면 교대 뒤로 치긴하는데..
┼ 뭐가 잘못됐는지 검토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