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묻고답하기 >> SLOPILE 관련 : 사면안정/교대측방유동/억지말뚝/보강사면(앵커, 네일 등) 해석 프로그램
측방유동압 산정식 중
홍원표식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c값이 증가하면 토압이 증가하는게 맞나요 ??? 그렇다면 지반개량등을 통한 하부연약층의 강도가 증진되면 그만큼 토압이 증가한다는 말씀이신데..그렇게 되면 지반이 개량될 경우 말뚝에 가해지는 하중이 지나치게 크게 되지 않나요 ?
그리고 그 식을 이용하게 되면 c, 파이 지반에 대한 측방유동압이 산정되는걸로 보이는데.. 맞나요? 기타의 식들 예를들면 체바타리호프나 일본도로국 식같은 경우는 연약 점성토 지반에서만 적용이 가능한거 같은데 ...맞나요?
또한, 홍원표식의 σH(z)는 주동토압을 적용하는것이 맞다고 논문이나 문헌자료에 나와 있는데 이경우 c, 파이를 모두 집어 넣어서 인장균열에 의한 토압감소분도 같이 넣어줘야 하는건지요?
식이 워낙에 복잡하고 각각의 문헌들에 따라서 식의 전개가 조금씩 달라서 이해하기가 힘들어 그럽니다. 좋은 설명 부탁드립니다.
또한, p(z)/B0 의 단위는 t/m^2 /m로 이해해야 하는지요 ? 그렇담 성토하중에 의해 말뚝 선단에 작용하는 횡하중은 p(z)B0 = cKp1 +Kp2σH(z) 를 일본도로공단식과 같이 우변에 B0(말뚝직경) 를 곱하고 말뚝의 교축방향 말뚝갯수를 나눠줘서 구하는게 맞나요 ?
허접한 질문이지만...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Slopile은 측방토압을 받는 말뚝의 사면안정해석 프로그램입니다.
측방토압에서 산정하는 토압은 줄말뚝주변이 소성상태가 될때 최대로 발생할수 있는 토압입니다. 즉 0~최대측방토압 의 범위에서 토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말뚝의 지반의 변형과 함께 줄말뚝 에 차츰차츰 증가되어 말뚝주변지반이 소성상태가 발생할 때 최대의 토압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측압부가계수(0~1)를 도입하여 토압을 산정합니다. 또한 말뚝사면의 안정해석에 대한 기본적인 조건은 말뚝의 안전율을 확보한상태에서 사면안전율을 구한다는데 있습니다. 따라서 측방토압은 말뚝의 안전이 확보될때까지만 토압이 발생한다고 보고 해석을 수행합니다.
첫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점착력과 마찰각은 토압의 변수입니다. 따라서 토압은 변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앞서 설명드렸듯이 사면안정계산을 할때는 말뚝의 안전이 중요하므로 측압부가계수를 조정하여 토압을 산정합니다.
두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측방토압은 점착력과 마찰력이 있는 지반에 대해서 계산가능합니다.
세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주동토압이므로 인장균열에 의한 토압으로 고려하는게 맞습니다.
네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1개의 말뚝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