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묻고답하기 >> XReWall 관련 : 보강토옹벽 해석 프로그램
Xrewal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Xrewall의 경우 입력정수항목이 상당히 세부화 되어 있는데 저희 회사의 경우 보강토 설계 뿐만이 아니라 기존에 보강토 옹벽의 설계된 자료를 검토하여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기도 합니다.
기존에 검토된 구조검토를 가지고 타당성 검토 내지 안정성 검토를 수행할 경우 당초 검토된 구조검토서를 보면 해석했던 프로그램이 대부분 MSEW를 특히나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경우 본 프로그램과 각종 정수를 기입하는 부분이 많이 다릅니다. 보강토 블럭의 제원이나 보강재의 제원은 대부분 입력하게 되어 있으나 Xrewall처럼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를 입력하는 항이라던가, 블럭과 보강재의 연결강도를 입력하는 항목은 없는듯 싶습니다. 아마 프로그램상에서 입력란이 없으므로 설계시 사용하는 블록과 그리드의 조합을 가지고 시험을 하지 않는듯 싶습니다.
(가)라는 그리드 제조회사가 그리드에 대한 수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나)라는 블록과 조합하여 시험을 의뢰한 경우의 시험값이 나왔을때 (다)라는 블록회사가 (가)의 그리드를 사용하여 보강토를 설계할때 이경우 (가)+(나)의 시험결과를 (가)+(다)에도 적용할수 있는 것인지요?(특히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나 블럭과 보강재의 연결강도의 경우) 제 생각에는 블록이 바뀌었으므로 그대로 적용하면 안될것 같은데 이러한 경우 그러면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 입력란과 블럭과 보강재의 연결강도 입력란에 값을 어떻게 산정해서 넣어야 하는것인지요.
ver3.0메뉴얼에보면 104페이지에 6)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 및 전단강도와 105페이지의 7) 흙과 보강재의 상호관계항의 값을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수치라고 보고 입력해도 되는것인지요. 만약에 그렇다면 메뉴얼상에 나와 있는 값의 경우 t/m^2 인것으로 보이는데 이경우 KN/m^2이라면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의 경우 Ult의 경우 30KN/m^2,40, 86.2(KN/m^2)순으로 Serv.는 Ult와 동일하게 입력 하면 되는것인지요?
두서없이 적었는데 궁금한것은 결국 이것입니다.
(1)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와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에 대한 시험값이 없는경우 어떠한 값을 이용해야 하는가?
(2) 만일 메뉴얼에 있는 값(VER.3.0 P104~105)을 이용해도 괜찮다면 메뉴얼에 나와 있는 수치들의 단위가 순서대로 t/m^2, degree, t/m^2 으로 보이므로 KN/m^2으로 해석할경우 10배(9.81배)해서 적용하여야 하는가?
다른 수치들은 별 문제가 안되는데 해석할때마다 이것때문에 많이 고민되고 헷갈리고 그렇습니다. 메뉴얼을 읽어본다고 읽어는 보는데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있구요. 바쁘시더라도 알려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1. 기존에 검토된 구조검토를 가지고 타당성 검토 내지 안정성 검토를 수행할 경우 당초 검토된 구조검토서를 보면 해석했던 프로그램이 대부분 MSEW를 특히나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경우 본 프로그램과 각종 정수를 기입하는 부분이 많이 다릅니다. 보강토 블럭의 제원이나 보강재의 제원은 대부분 입력하게 되어 있으나 Xrewall처럼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를 입력하는 항이라던가, 블럭과 보강재의 연결강도를 입력하는 항목은 없는듯 싶습니다. 아마 프로그램상에서 입력란이 없으므로 설계시 사용하는 블록과 그리드의 조합을 가지고 시험을 하지 않는듯 싶습니다.
답변)
MSEW와 XReWall에서 FHWA 기준에 의해서 해석할 경우에는 동일한 이론을 사용하므로 입력방법이나 해석결과는 별다른 차이가 없습니다.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와 전단강도에 대한 입력방법은 강도감소계수 CRu, CRs 라는 값으로 서로 동일하게 입력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MSEW의 경우 노출되어 있지 않는 경우라 그냥 쉽게 디폴트값을 사용할 경우가 많습니다. MSEW 입력항목을 세부적으로 보시면 CRu, CRs값을 입력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2. (가)라는 그리드 제조회사가 그리드에 대한 수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나)라는 블록과 조합하여 시험을 의뢰한 경우의 시험값이 나왔을때 (다)라는 블록회사가 (가)의 그리드를 사용하여 보강토를 설계할때 이경우 (가)+(나)의 시험결과를 (가)+(다)에도 적용할수 있는 것인지요?(특히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나 블럭과 보강재의 연결강도의 경우) 제 생각에는 블록이 바뀌었으므로 그대로 적용하면 안될것 같은데 이러한 경우 그러면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 입력란과 블럭과 보강재의 연결강도 입력란에 값을 어떻게 산정해서 넣어야 하는것인지요.
답변)
블록과 보강재에 대한 연결강도와 전단강도는 제조회사가 상이한 경우에는 실험값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실험값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장 근접한 경우의 실험값을 찾아서 입력하는 방법밖에는 현재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3. ver3.0메뉴얼에보면 104페이지에 6)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 및 전단강도와 105페이지의 7) 흙과 보강재의 상호관계항의 값을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수치라고 보고 입력해도 되는것인지요. 만약에 그렇다면 메뉴얼상에 나와 있는 값의 경우 t/m^2 인것으로 보이는데 이경우 KN/m^2이라면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의 경우 Ult의 경우 30KN/m^2,40, 86.2(KN/m^2)순으로 Serv.는 Ult와 동일하게 입력 하면 되는것인지요?
답변) 가능하면 ver 4.0 메뉴얼을 참조하시기 바라며 XReWall의 경우 NCMA와 FHWA기준을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연결강도와 전단강도는 입력값이 NCMA의 입력방법을 따라 입력하게 되어 있습니다. FHWA기준에서는 Serv값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Ver 4.0부터는 NCMA방법을 국내에서 많이 적용하지 않는 관계로 NCMA와 FHWA기준을 적용할 때 별도로 다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적용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NCMA와 FHWA기준의 연결강도와 전단강도의 입력값은 근본적인 값은 동일한 값입니다.
흙과 보강재의 상호관계항의 값 또한 보강재의 고유한 특성에 기인하는 값입니다. 가능하면 실험값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득이 한 경우에는 사용하실 보강재의 종류에 따라 기존에 연구된 실험값을 사용합니다.
4. (1)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와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에 대한 시험값이 없는경우 어떠한 값을 이용해야 하는가?
답변)
앞에서 답변드린 것과 같이 실험값을 적용하여야 합니다. 없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기술자의 판단에 의해 할 수 밖에없는 경우이며 이 값들에 블록과 보강재의 종류에 따라 각 각 다른 특성을 나타내므로 꼭 어떤 값을 사용하라는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5. (2) 만일 메뉴얼에 있는 값(VER.3.0 P104~105)을 이용해도 괜찮다면 메뉴얼에 나와 있는 수치들의 단위가 순서대로 t/m^2, degree, t/m^2 으로 보이므로 KN/m^2으로 해석할경우 10배(9.81배)해서 적용하여야 하는가?
답변)
메뉴얼은 프로그램 사용하는데 참고자료이지 입력값에 대한 디폴트값은 아닙니다. 보강토옹벽 해석의 경우 블록과 보강재의 특성에 따라서 내적안정 및 국부적인 해석 부분에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므로 대부분의 입력값이 실험값에 의해서 입력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단위는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환산하여 적용하시면 됩니다.
보강토옹벽의 경우 흙과 보강재의 상호작용에 대한 값들은 연구결과나 기준에 각 보강재의 종류에 따라 제시한 값이 많이 있으나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 및 연결강도에 대한 입력값에 대한 내용은 블록의 종류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어떤값을 입력하라고 지정해 드릴 수 없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