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묻고답하기 >> XReWall 관련 : 보강토옹벽 해석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늘 NCMA쪽으로만 하다보니 FHWA쪽은 생각을 못했습니다.
정확히 말씀드리면 아직 공부가 부족합니다. 양해 바랍니다.
그래서 말씀하신대로 FHWA쪽으로 검토하다보니 에러가 발생해서 말씀드립니다. 검토 부탁드립니다.
(1) 옹벽 상부 경사를 34도로 설정할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MSEW에서의 구조계산서 상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옹벽 상부 경사를 25까지 떨어뜨리면 해석이 가능합니다.
(2) 그림상 상재하중 단위가 kPa 로 표시되지 않고 t/m^2으로 표시됩니다.
(3) 보강재 제원 DB편집항에서 연결강도감소계수가 MSEW에서의 구조계산서 상에는 grid -1 이 CRU가 0.9, 0.9 시그마가 50,120 CRS가 0.9, 0.9 시그마가 0, 50으로 표시되어서 그대로 입력하였는데 Xrewall에서의 CRU의 시그마항이 자꾸 50,100으로 표시됩니다. 혹 50의 두배까지만 되는것으로 세팅이 되어있는지요? 만일 그렇다면 해석상 큰 차이는 없는지요?
(4)MSEW 구조계산서를 보면 평상시와 지진시를 구분하여서 해석결과가 나와있는데 Xrewall의 구조계산서는 그게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은것 같습니다. 아님 제가 옵션을 잘못 적용했던것일수도 있구요. 이점도 궁금합니다.
바쁘실텐데 죄송합니다. 구조계산서와 비교하시면 좋을것 같은데 구조계산서를 문서로 받은것이라 혹 필요하시다면 팩스나 스캔받아서 올려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1) 옹벽 상부 경사를 34도로 설정할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MSEW에서의 구조계산서 상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옹벽 상부 경사를 25까지 떨어뜨리면 해석이 가능합니다.
답변)
근본적으로 토압산정시 공식에 지층의 내부마찰각보다 법면경사각이 클 경우에는 성립이 안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예외로 토압산정식에 항목을 조정해서 사용하기도 하나 아직 정확히 명문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해석이 불가능한 상태로 처리됩니다.
또한 법면경사각이 내부마찰각보다 큰 경우에는 사면에 보강을 하지 않는한 비탈면 안정해석시 불안정한 것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MSEW는 해석이 된다고 하셌는데 MSEW도 마찬가지로 경고 문구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그림상 상재하중 단위가 kPa 로 표시되지 않고 t/m^2으로 표시됩니다.
답변)
하중치수를 대부분 그리지 않아서 단위변환시 적용이 안되게 처리되어 있네요.
이 부분은 빠른시일내에 보완하겠습니다.
(3) 보강재 제원 DB편집항에서 연결강도감소계수가 MSEW에서의 구조계산서 상에는 grid -1 이 CRU가 0.9, 0.9 시그마가 50,120 CRS가 0.9, 0.9 시그마가 0, 50으로 표시되어서 그대로 입력하였는데 Xrewall에서의 CRU의 시그마항이 자꾸 50,100으로 표시됩니다. 혹 50의 두배까지만 되는것으로 세팅이 되어있는지요? 만일 그렇다면 해석상 큰 차이는 없는지요?
답변)
50, 120에서 앞부분 50은 기준이 되는 반면에 뒤쪽 120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MSEW의 경우에는 별도로 CRu값 지정이 가능하면 영향을 줄 수 있으나 XReWall에서는 동일한 값을 입력 받으므로 50 이상은 동일한 값이 적용되므로 이상없습니다.
(4)MSEW 구조계산서를 보면 평상시와 지진시를 구분하여서 해석결과가 나와있는데 Xrewall의 구조계산서는 그게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은것 같습니다. 아님 제가 옵션을 잘못 적용했던것일수도 있구요. 이점도 궁금합니다.
답변)
프로그램의 해석방법의 차이이죠.
MSEW의 경우 평상시 해석과 지진시 해석을 동시에 수행하며 지진시 해석을 옵션을 선택하지 않으면 그냥 공백으로 처리되어서 결과가 출력됩니다.
반면에 XReWall의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해석방법에서 정적해석과 유사정적해서으로 구분하여 해석을 수행합니다.
원하는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