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묻고답하기 >> XReWall 관련 : 보강토옹벽 해석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하나 더 여쭙겠습니다.
34도로 사면경사를 설정하면 타프로그램에서도 N.G를 나타낸다고 하셨는데 저희쪽에서 안정성검토를 위해 받아온 구조계산서에 보면 사면경사가 34도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프로그램버전은 MSEW 3.0이라고 기입되어 있습니다.
저희쪽에서 MSEW를 가지고 있지는 않구요. MSEW로 해석한 결과로 시공한 보강토 옹벽이 문제가 생겨서 그에 대한 용역을 수행하는데 Xrewall로 구조검토의 타당 여부를 일단 확인하고 있는 중입니다.
reinforced soil과 retained soil은 19kn/m과 35도로 foundation soil은 19kn/m와 30도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옹벽 높이는 5.7m에 backslope는 34도, 사하중 10kpa, 활하중 5kpa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안정성결과는 static과 seismic 모두 안전한 것으로 검토가 되었구요.
최대한 근접하여 맞게 입력했다고 하는데 해석 결과가 다르게 나와서 문의를 드립니다.
구조계산서 스캔본을 입력 정수부분만 해서 올려놓았습니다.
제가 입력을 잘못하거나 누락해서 그런것인지 아니면 당초에 구조계산에 오류가 있었던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바쁘시고 번거롭더라도 어느쪽에서 문제가 있는지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항상 빠르고 좋은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건승을 기원하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법면경사각과 내부마찰각에 따라 토압을 계산하는데 정적해석시에는 법면경사각 < 내부마찰각이면 해석이 가능하나 내진해석시에는 관성각이라는 부분이 추가되어 법면경사각은 더 줄어들게 됩니다.
MSEW로 동일하게 입력하였을 때 나오는 메세지 입니다. 계속 해석을 수행하여도 어떻지는 모르겠으나 XReWall에서는 자체적으로 이러한 조건은 수행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합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회사에서 문제가 발생한 현장에 대하여 구조검토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시는 것 같은데 제공받으신 결과물은 조작하지 않는한 구조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출력이 되면 어떠한 타 프로그램으로 해석하여도 거의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입니다.
단지, 입력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을 경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지요.
전반적인 자료와 현장 시공상태 등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검토는 힘들 것 같습니다. 첨부하신 자료에 따른 제 개인적인 소견을 몇가지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입력데이터에서는 단순옹벽인데 입력데이터에는 계단식옹벽을 적용하였습니다. 이 이유는 전면에 있는 소단을 주기위해서 입력한 것으로 보이는데 자세한 내막은 모르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CRs 값은 일반적으로 Confining stress 0 인 경우 0, 50인 경우 0.9을 많이 적용하는데 여기서는 0인 경우에도 0.9를 적용하였네요. 이 경우는 블록과 보강재의 인발시험에서 보강재가 파단이 일어나기 전에서는 인발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이 수행되는데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방법이 블록과 블록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아니고 강재로 연결하는 경우가 됩니다. 특히 상단 부분 블록의 이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른 부분은 별다른 의문점은 보이지 않으나 가장 큰 의문이 가는 부분이 보강토의 내부마찰각입니다. 현재 입력된 보강토의 내부마찰각이 35도로 입력되어 있는 이 부분이 실제 현장 시공한 성토재와 차이가 있으면 가장 큰 문제가 발생하겠지요.
이 부분은 기본적인 토압의 산정부터 보강재의 인발저항력 및 활동저항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값입니다. 문제가 발생하였다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부분이 이 부분인 것 같은데요. 한번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