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묻고답하기 >> SLOPILE 관련 : 사면안정/교대측방유동/억지말뚝/보강사면(앵커, 네일 등) 해석 프로그램
글수 481
손규만 과장님 안녕하십니까?
고성토 교대 안정성 검토시 전에 한번 문의한 적이 있는데 당시에 너무 급하게 여쭤봐서
잘 모르는 부분이 다시 생겼습니다.
1) 말뚝고려시와 미고려시 안전율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는데 기존 다른 보고서를 보면 성토하부 지층이 퇴적층이고 20m이상 고성토부분에서 안전율이 미고려시1.6, 고려시 2.2이상 확보되는데 지금보낸 데이타는 왜 그런지?
2) 상기 안전율을 만족할 경우 말뚝의 수평변위를 보면 허용수평변위를 훨씬 벗어나는 결과가 항상 나타나고 있는데, 반대로 안전율을 만족하지 않으며 수평변위는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P.S : 보내드린 DATA에서 압성토 선단부분에 지층을 31번과 36번으로 이어야 하는데 지층추가만 되서 새로운 지층으로 입력되는데 기존 성토재와 같게 하려면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지요?
그럼, 바쁘시더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고성토 교대 안정성 검토시 전에 한번 문의한 적이 있는데 당시에 너무 급하게 여쭤봐서
잘 모르는 부분이 다시 생겼습니다.
1) 말뚝고려시와 미고려시 안전율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는데 기존 다른 보고서를 보면 성토하부 지층이 퇴적층이고 20m이상 고성토부분에서 안전율이 미고려시1.6, 고려시 2.2이상 확보되는데 지금보낸 데이타는 왜 그런지?
2) 상기 안전율을 만족할 경우 말뚝의 수평변위를 보면 허용수평변위를 훨씬 벗어나는 결과가 항상 나타나고 있는데, 반대로 안전율을 만족하지 않으며 수평변위는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P.S : 보내드린 DATA에서 압성토 선단부분에 지층을 31번과 36번으로 이어야 하는데 지층추가만 되서 새로운 지층으로 입력되는데 기존 성토재와 같게 하려면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지요?
그럼, 바쁘시더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