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묻고답하기 >> SLOPILE 관련 : 사면안정/교대측방유동/억지말뚝/보강사면(앵커, 네일 등) 해석 프로그램
slopile 해석 중 사면내 옹벽에 그리드를 삽입하는데 그리드 추가항목에서 마찰저항력 식 τ = c + r * h * tan(φ*2/3)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여기서 c는 그리드가 삽입되는 해당토층의 점착력, 파이는 그 지층의 마찰각, 감마는 그 지층의 단위중량으로 보이는데요.
h를 어떻게 산정하고 계산해야 되는지요.
첨부된 파일처럼 옹벽이 상부에 1개소, 하부에 1개소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예를 들면 5m 높이의 사면(또는 옹벽)에 그리드를 0.5m 간격으로 배치하고 총 10개단을 삽입한다고 하면 제 생각에는 맨 위에 설치된 그리드는 상부에서 0.5m 높이이므로 0.5 그리고 그 아랫단은 1.0, 그리고 그 아래는 1.5,....2.0, 2.5 이런식으로 해서 제일 아랫단에 설치된 그리드는 5.0으로 h를 산정해서 계산하는 것 같습니다.
이것이 맞는지요?
아니면 사면 최상부(또는 사면 최하부)를 기준으로 그리드가 삽입된 위치까지의 연직거리로 보는것인지요?
위 식을 찾아보려고 했는데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어떤 문헌을 참고해야 하는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성수님
옹벽 상부에 법면이 있을 경우에는 정확하게 상재하중을 산정하기 힘듭니다.
따라서, 보수적으로 옹벽 상단부터 그리드까지의 높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지금하신 방법이 잘 하신것 같네요.
더 보강효과를 높이고자 하신다면 보강재 상부에 있는 법면의 하중을 고려해 주세도 되는데 산정하기가 좀 어렵죠.
일정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면 일반적으로 보강토옹벽에서 계산하는 방법은 그리드 길이 끝단까지의 상부 법면의 면적을 그리드 길이로 나누어서 산정합니다. 이 산정한 값을 앞서 옹벽 상단부터 h로 계산한 부분에 더해주면 됩니다.
그럼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