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묻고답하기 >> XReWall 관련 : 보강토옹벽 해석 프로그램
글수 41
그리드의 실험값을 아직 알수가 없어서
임의의 값을 넣어가면서 프로그램을 돌려보는중인데 궁금한것이 너무 많네요
답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1. 연결강도 감소계수(CRu, CRs)에서
접지압과 인발 입력항목이 있는데 왜 위쪽 값만 입력하고
아랫쪽값은 윗쪽에서 물리도록 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아랫쪽값은 No.2 접지압 값만 활성화되어있는데 그 값도 윗쪽 No.2 접지압 값의 2배로 임의적으로 물려있던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2.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와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 값 입력항이있는데
연결강도 감소계수의 No.1,No.2 접지압과 인발값들은
블럭과보강재의 연결강도 Ult.의 MIn.acs 값과 λcs값과 서로 물려서 바뀌는거 같은데
Serv. 값과 블럭과보강재의 전단강도 Ult. Serv. 값은 독립적으로 입력가능하고 바꾸어도 OUTPUT에서 내적안정 외적안정 연결강도검토에서
영향을 끼지지 않는것 같은데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1. 연결강도 감소계수에 대한 부분
CRs, CRu값은 인발 및 파단에 대한 연결강도 감소계수입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블록과 블록 사이에 보강재를 연결한 후 테스트를 실시하면 접지압이 적은 붉은색의 No1과 No2의 구간에서는 보강재가 블록과 블록 사이에서 빠지는 즉 인발이 발생하고 No2이상에서는 접지압이 크게 작용하여 인발이 발생하지 않고 보강재가 파단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결과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아래의 그림이며 인발부분은 CRs, 파단부분은 CRu로 정의되며 파단의 경우에는 최대값이 적용되며 각 보강재에 동일한 값이 적용됩니다. 반면에 CRs값은 No1부터 No2까지 접지압의 영향을 받아서 CRs값은 보강재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다른 값이 적용됩니다.
그리고 접지압의 경우 2배로 설정되는 부분은 CRu의 No1과 No2가 변화되어도 CRu값은 변화가 없으므로 편의상 설정해 놓은 것이고 실제 실험을 실시한 최대 접지압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 값은 No1이상에서는 CRu값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상관없습니다.
2.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와 전단강도에 대한 부분
1번항에서 설명한 부분의 연결강도감소계수(CRu, CRs)값과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 값은 실험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방법이 상이한 것이지 동일한 값입니다. 블록과 보강재의 전단강도는 NCMA해석에만 사용되는 값으로 블록과 블록사이에 보강재을 연결한 후 블록을 밀어서 전단시킨 결과를 적용하는 값입니다.
연결강도감소계수(CRu, CRs)와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는 동일한 테스트 결과이므로 같이 물려서 입력되고 전단강도부분은 별도의 항목이므로 독립적으로 입력이 가능합니다.
해석결과에 영향을 주고 안주는 부분은 해석방법 선택에서 FHWA의 경우에는 연결강도감소계수(CRu, CRs)가 적용되고 NCMA의 경우에는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강도와 전단강도가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각 해석법을 선택하시면 보강재 입력창에서 활성화되는 부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아래의 그림은 NCMA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그래프화 한 것입니다.
위의 두 그래프는 동일한 테스트 결과를 각 축의 값을 달리한 것이지 결과적으로는 같은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자세한 내용은 프로그램 사용자 지침서의 페이지 110 부분에 대한 참고문헌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수고하세요.